▲제362회 정례회 건설소방위원회(부여소방서)

충남도의회 건설소방위원회가 서천·부여소방서를 대상으로 실시한 행정사무감사에서 “사후 대책보다 예방 활동을 우선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게 제기됐다. 위원들은 최근 발생한 서천특화시장 화재와 국가정보자원관리원 리튬배터리 화재 사례를 언급하며, 소방 대응체계의 실효성을 점검하고 드론 감시, 소화시설 표준화, 전기차 화재 대응 등 다양한 개선책을 제안했다.

고광철 위원장(공주1·국민의힘)은 “서천군은 공장 밀집지역임에도 불구하고 소방서가 보유한 드론은 3대에 불과하다”며 “광범위한 지역 감시와 인명 구조를 위해 드론 확보가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홍기후 부위원장(당진3·더불어민주당)은 소화전과 보호틀 관리 문제를 지적하며 “규격이 제각각인 보호틀은 화재 진압에 장애가 될 수 있다”며 표준화 필요성을 제기했다. 그는 또 “아동·청소년 대상 소방안전교육을 체험형으로 확대해 안전문화를 확산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김기서 위원(부여1·무소속)은 “재난 대응의 출발점은 정확한 데이터 관리”라며 실시간 정보 공유 시스템 강화와 권역별 소방헬기 협조체계 정비를 주문했다. 조철기 위원(아산4·더불어민주당)은 “논밭 태우기 등 불피움 행위에 대한 예방활동을 강화해야 한다”며 “내용연수가 지난 에어매트는 즉시 폐기해 안전사고를 막아야 한다”고 지적했다.

양경모 위원(천안11·국민의힘)은 “리튬배터리 등 신유형 화재는 진압이 어렵다”며 “대응 기술과 장비 확충으로 소방대원의 안전을 확보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윤희신 위원(태안1·국민의힘)은 “서천특화시장 화재 당시 샌드위치 패널이 확산 원인으로 지적됐는데, 불과 석 달 전 점검에서 우수 등급을 받은 점은 제도의 신뢰성 문제를 보여준다”며 점검 제도의 구조적 개선을 요구했다.

이재운 위원(계룡·국민의힘)은 “전기차 보급 확산에 따라 신종 화재 대응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며 장비 확충과 구조대원 직무환경 개선을 촉구했다. 이해선 위원(당진2·국민의힘)은 “의용소방대 인력 보충과 민간 협력 네트워크 구축이 필요하다”며 “소방공무원 기본 소양 교육과 내부 기강 확립으로 신뢰받는 조직문화를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