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362회 정례회 행정문화위원회 행정사무감사

충남도의회 행정문화위원회가 청년정책관과 자치경찰위원회를 대상으로 한 행정사무감사에서 청년 일자리 정책의 연속성과 지역 균형 지원을 강조했다. 위원들은 청년 창업·고용 생태계 구축, 예산 감액에 따른 정책 지속성 확보, 특정 지역 편중 해소 등을 주문했으며, 자치경찰위원회 감사에서는 ‘기념일 폭주족’에 대한 강력한 처벌 필요성을 제기했다.

12일 열린 충남도의회 행정문화위원회 행정사무감사에서는 청년정책과 치안 현안이 집중적으로 논의됐다.

박기영 위원장(공주2·국민의힘)은 청년정책공모사업이 공연·행사 중심으로 운영된 점을 지적하며 “단발성 지원보다 청년 창업과 일자리 연계로 이어질 수 있는 장기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현숙 부위원장(비례·국민의힘)은 국비 의존 구조의 한계를 지적하며 “청년 일자리 사업 국비가 대폭 줄어든 상황에서 도 자체사업만으로는 지속 추진이 어렵다”며 “충남형 청년고용 생태계를 구축하기 위한 재정 확충과 제도 기반 강화가 시급하다”고 말했다.

윤기형 위원(논산1·국민의힘)은 은둔·고립 청년 지원사업이 도시 지역에 집중된 점을 문제 삼으며 “도내 모든 청년에게 공정한 기회를 보장하기 위해 시·군별 균형 있는 지원이 필요하다”고 요청했다. 그는 또 “청년 취업 지원 예산이 전년 대비 83% 감소한 것은 심각한 문제”라며 정책의 연속성을 강조했다.

주진하 위원(예산2·국민의힘)은 청년 페스티벌이 천안·아산에 집중된 점을 지적하며 “충남 전역의 균형발전을 위해 여러 시군이 함께 참여할 수 있는 프로그램 확대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자치경찰위원회 감사에서는 전익현 위원(서천1·더불어민주당)이 최근 3·1절과 광복절 폭주 운전 특별단속을 언급하며 “위험한 행위임에도 대부분 과태료 등 경미한 처분에 그쳤다”며 “유사 행위가 반복되지 않도록 엄중한 처벌이 필요하다”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