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362회 정례회 행정사무감사 건설소방위원회

충남도의회 건설소방위원회가 소방본부 행정사무감사에서 ‘미래형 대응체계’ 구축을 강하게 주문했다. 전기차 화재와 복합재난 등 새로운 위험에 대비하기 위해 첨단기술 도입과 인력 관리 체계화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이어졌다.

14일 열린 제362회 정례회에서 건설소방위원회(위원장 고광철)는 충남도 소방본부를 대상으로 행정사무감사를 실시했다. 위원들은 도민 안전을 위한 소방 대응체계의 혁신적 전환을 촉구하며 다양한 개선 방안을 제시했다.

고광철 위원장(공주1·국민의힘)은 “소방본부는 도민 생명과 안전을 지키는 최일선 기관”이라며 “감사 과정에서 드러난 문제점을 면밀히 검토해 안전 수준을 한 단계 더 높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홍기후 부위원장(당진3·더불어민주당)은 지상식 소화전 보호대의 표준화 필요성을 언급하며 “화재 시 장애가 없도록 전수조사와 정비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그는 “재난은 특정 지역의 문제가 아닌 만큼 충남 전역이 안전망을 공유하는 통합 대응체계를 구축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김기서 위원(부여1·무소속)은 “배수지원차 확보를 위한 전담팀 신설이 필요하다”며 “AI 기반 소방예찰과 자율드론 운영 같은 첨단기술을 시범 도입해 대응 역량을 강화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조철기 위원(아산4·더불어민주당)은 “복합재난에 대비한 미래지향적 훈련·교육 체계가 필요하다”며 “예방 중심의 인력 재배치와 조직 세분화, 특수차량 운전 경력직 채용을 통해 진압 역량을 보완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윤희신 위원(태안1·국민의힘)은 소방 특별사법경찰 운영 문제를 지적하며 “208명 중 전담 인력이 35명에 불과하고, 근무기간도 대부분 2년 이하”라며 “순환보직 대신 별도의 운영체계를 도입해 전문성을 강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해선 위원(당진2·국민의힘)은 “소방행정의 핵심은 인력 관리”라며 “정원 대비 현원 부족을 고려해 연간 인력운영계획을 수립하고 현장 대응 공백을 최소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재운 위원(계룡·국민의힘)은 “전기차 확대와 에너지 인프라 변화에 맞춰 화재 대응체계를 선제적으로 전환해야 한다”며 “모든 소방서가 균일한 대응 역량을 확보할 수 있도록 직무환경 개선과 안전장비 확충, 신기술 도입을 병행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