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철우 경북도지사(사진/ 이철우 지사 페이스북)
국민의힘 대선 경선 후보로 나선 이철우 경북도지사가 최근 정치권에서 논란이 되고 있는 ‘연방제 지방자치’에 대해 강력한 입장을 밝혔다. 그는 “지방이 살아야 나라가 산다”는 소신을 재확인하며, 이를 국가 생존전략으로 제시했다.
이 지사는 자신의 SNS를 통해 “연방제 수준의 지방자치는 제가 늘 주장해 온 내용”이라며, “서울 중심의 시각에서 지방 현실을 모르는 발언들이 안타깝다”고 지적했다. 그는 대한민국을 “머리가 절반인 2등신 기형 국가”로 비유하며, 수도권과 지방 간의 극심한 불균형을 비판했다.
그는 특히 인프라 격차를 강조하며, “수도권에는 거미줄 같은 전철망과 GTX가 있지만, 지방에는 고속도로 하나, 전철 하나조차 부족하다”며 공정한 사회를 위한 인프라 개선의 필요성을 역설했다. 또한, “기본소득보다 이동권이 우선”이라며, 동서 10축, 남북 10축 고속도로 계획의 재가동과 지방 대도시 전철망 구축을 약속했다.
이 지사는 지방정부가 중앙정부의 하청기관이 아닌, 재정과 입법, 정책 권한을 실질적으로 행사할 수 있는 주체로 거듭나야 한다고 주장하며, 이를 위한 ‘분권형 개헌’을 제안했다. 그는 중앙정부는 외교·국방·통일에 집중하고, 나머지 권한은 지방이 주도하는 시스템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마지막으로, 그는 “정치는 실천”이라며, 지방도 서울처럼 살아야 한다는 점을 강조했다. “대한민국 전체가 잘 사는 길은 연방제냐 아니냐의 문제가 아니라, 국민을 살피고 현장을 아는가의 문제”라며, 자신이 그 역할을 할 적임자임을 피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