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도

충남도는 전국 최초로 도입한 ‘지방상수도 통합관망관리 체계’를 본격 운영한다고 22일 밝혔다.

통합관망관리는 지방상수도 시설노후화에 따른 유수율 저하와 수질문제, 단수 및 누수 등 다양한 상수도 문제에 적극 대응하기 위한 것으로 지난 3월부터 관리체계를 구축해 운영중이다.

사업 대상지는 지방상수도 현대화 사업을 완료한 공주·보령·당진·부여·서천·청양·홍성·예산·태안 9개 시군이다.

도는 2030년까지 5년간 9개 시군 20개 읍면동의 유수율 85% 유지를 목표로 사업을 추진한다.

주요 내용은 △통합 관망모니터링 △유수율 분석 △원격누수감시 △누수탐사 △수도시설 점검·관리 등으로, 체계적인 상수도 관망운영을 통해 수도시스템의 효율성 제고와 물손실 최소화를 도모한다.

통합관망관리를 통해 유수율 85% 달성 시 하루 약 2만 8000㎥, 연간 1019만㎥의 누수저감이 가능하며, 금액으로는 연간 215억원의 절감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는 보령댐 1일 정수량(28만 5000㎥/일)의 10%에 해당하는 물량으로, 만성적인 가뭄과 용수공급 불안정 상황이 지속되고 있는 보령댐의 용수 안정화에 크게 기여할 전망이다.

이번 사업은 2022년 11월 도와 행정안전부, 환경부, 시군이 공동체결한 ‘충남 서부권 지방상수도 통합 업무협약’을 기반으로 추진됐다.

환경부는 기초자치단체 고유사무로 운영중인 수도사업의 지속적인 재정악화, 유지관리 한계 등 구조적 문제 해결을 위해 수도사업자간 통합을 정책적으로 추진했고, 이와 관련된 수도법 개정안이 오는 23일 시행됨에 따라 수도통합의 법적근거도 마련했다.

도는 환경부의 수도통합 정책에 발맞춰 통합관망관리를 시작으로 도-시군간 수도사업의 단계적 통합을 추진해 전국 최초 지속가능한 수도사업 통합모델을 구현한다는 방침이다.

김영명 도 환경산림국장은 “수도경영 효율화와 기후위기에 대비한 안정적인 물공급을 위해 지자체간 통합된 수도운영이 필수적”이라며 “지역 간 수도서비스 격차를 해소하고 도민의 물복지 향상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