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립기념관(관장 김형석)은 안중근 의사(세례명 토마스) 순국 115주년을 맞아 3월 21일부터 4월 16일까지 ‘한국 독립운동과 천주교’ 특별기획전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전시는 독립기념관의 ‘2025 한국독립운동과 천주교’ 행사와 연계하여 한국 독립운동에 참여한 천주교인들의 다양한 활동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독립정신을 되새겨 보기 위해 마련되었다.
전시는 총 4부로 구성된다. 1부 <독립운동에 헌신한 안중근 의사와 그 가문>에서는 천주교의 깊은 신앙심을 갖고 독립운동에 헌신한 안중근의 독립운동과 안중근의 뜻을 이어 독립운동에 참여한 안중근 일가의 독립운동을 살펴본다. 2부 <3·1운동에 참여한 천주교인>에서는 일제의 탄압과 교단의 시위 참여 경계에도 불구하고 3·1운동에 참여한 천주교인들의 모습을 살펴본다.
3부 <일제 말, 파시즘전쟁에 협력하지 않은 천주교인들>에서는 일제 말, 일제의 패망을 전망하며 일제의 회유와 억압에도 전쟁에 협력하지 않은 천주교인들의 모습을 살펴본다. 4부 <대한민국 임시정부를 도운 천주교 신부>에서는 1940년 중국 충칭重慶에 자리를 잡은 대한민국 임시정부를 도운 중국의 위빈于斌 주교와 벨기에 신부 샤를 메우스Charles Meeus의 활동을 소개한다.
이번 전시에서는 천주교인의 독립운동 관련 자료, 사진, 영상 등 총 66점의 자료가 공개된다. 특히 독립운동가의 회고, 수기, 일제의 재판 기록 등을 적극 활용하여 천주교 독립운동가들의 생각과 독립의지를 살펴볼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안중근 의사의 순국 이후 그의 독립운동을 기억하고 기념하고자 기념 엽서를 제작했던 사람들의 마음을 생각해 볼 수 있도록 ‘독립엽서 만들기’체험 코너도 마련하였다. 이외에도 전시와 연계하여 MR독립영상관에서는 안중근 의사의 하얼빈 의거를 다룬 영화 ‘하얼빈’을 3월 22일(토)과 29일(토)에 오후 2시부터 한차례씩 무료로 특별 상영한다.
이번 전시를 기획한 독립기념관은 “‘한국 독립운동과 천주교’ 전시를 통해 한국 독립운동에 참여한 천주교인들의 믿음과 용기, 그리고 독립정신을 기억하는 자리가 되기를 기대한다.”라고 밝혔다. 또한 독립기념관은 “이번 전시에 이어 불교(5월), 민족종교(10월), 기독교(12월)를 주제로 특별전을 기획하여 한국 독립운동에 참여한 종교와 종교인들의 독립운동과 독립정신을 조명해나갈 예정이다.”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