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6년간 등록 기간별 관리미제사건 현황

경찰이 피의자를 특정하지 못해 해결하지 못한 ‘관리미제사건’이 463만 건을 넘어서며 사회적 우려가 커지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한병도 의원(전북 익산을)은 경찰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최근 6년간 관리미제사건이 26% 증가했으며, 이 중 60% 이상이 10년 이상 장기화된 사건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자료에 따르면, 관리미제사건은 2020년 366만 건에서 2025년 8월 기준 463만 건으로 늘어났다. 특히 등록 경과 연수가 10년 이상인 사건은 289만 건으로 전체의 62.4%에 달하며, 20년 이상 경과된 사건도 49만 건을 넘었다.

지역별로는 서울청이 2020년 81만 건에서 2025년 100만 건으로 22.9% 증가했고, 경기남부청과 경남청도 각각 30.3%, 28.0%의 증가율을 보였다. 사건 유형별로는 강력 사건이 40.3%, 형사 사건이 37.5%로 전체의 77.7%를 차지했다. 특히 경제·사이버 등 통합수사 사건은 5년 새 세 배 이상 증가해 40만 건을 넘어섰다.

한병도 의원은 “수많은 사건이 수사 종결 없이 기록만 남은 채 누적되고 있다”며 “경찰청은 사건 등록 경과 연수별로 기준을 마련해 기록 정비를 실시하고, 각 시·도청별로 등록 적정성을 점검하는 전수조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