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도의회 이연희 의원(서산3·국민의힘)이 한센인 정착마을의 열악한 환경 개선과 도내 학교 급식 운영 체계 개편을 강력히 촉구하며 실질적인 정책 변화를 요구했다.
이 의원은 11일 열린 제359회 정례회 제2차 본회의 도정 및 교육행정 질문에서 “충남 도내 한센인 정착마을에는 여전히 부식된 석면 슬레이트 지붕이 남아 있으며, 거주민 대부분이 70~80대 고령자로 사회적 고립과 정서적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실질적인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이어 그는 “지난 2021년 국가인권위원회에서 ‘한센인 권익보호 및 정착촌 환경·복지개선 종합대책’을 권고했음에도 불구하고 충남도의 대응이 미흡하다”며 “복지국, 환경산림국, 농축산국 등 도 차원의 협업체계를 구축해 적극적으로 해결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교육행정 질문에서는 도내 일부 학교에서 운영 중인 운반급식의 위생 및 안전 문제를 지적하며 개선 필요성을 역설했다. 이 의원은 “현재 도내 초·중·고 77개교가 운반급식을 운영하고 있으며, 배송 거리가 최대 17㎞에 달해 음식의 위생과 품질 저하가 우려된다”고 말했다.
또한 “35개 학교에서는 초등학교와 중학교가 공동 조리하는 방식으로 급식을 운영해 학령별 영양관리 기준을 맞추기 어려운 상황”이라며 “특히 중학교에서 조리한 급식을 초등학생과 병설유치원 어린이들이 먹는 것은 부적절하며, 이에 따른 민원이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특히 그는 도내 다문화 학생들의 식문화 차이를 고려한 급식체계 도입 필요성을 강조하며 “현재 충남 지역 초등학생의 7.1%, 중학생의 5.8%, 고등학생의 3.3%가 외국인을 포함한 다문화 학생들로 구성돼 있다”며 “문화적 차이로 인해 특정 식재료를 섭취할 수 없는 학생들을 위한 맞춤형 대안 급식 체계가 마련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 의원은 “과거 한센인 정책으로 인한 문제가 현재까지 영향을 미치는 것처럼, 현재의 외국인·다문화 정책도 미래 사회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며 “충남도와 충남도교육청이 책임감 있는 정책을 추진해줄 것”을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