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도의회 조철기 의원(아산4·더불어민주당)이 충남형 국제 바칼로레아(IB) 학교의 성공적인 도입과 운영을 위해 충남교육청의 철저한 분석과 구체적인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조 의원은 11일 열린 제359회 정례회 제2차 본회의 교육행정 질문에서 “충남교육청이 추진 중인 IB학교가 현재 19개교에 이르고 있지만, 학생과 학부모들과의 소통이 충분했는지 의문”이라며 사업 추진 과정의 근본적인 문제점을 지적했다.
충남형 국제 바칼로레아 학교는 ‘충남형 2030 미래학교’의 한 유형으로, 국제 바칼로레아 기구(IBO)가 운영하는 국제공인 교육프로그램이다. 이중언어(한국어·영어)를 활용하며, 토론식 수업과 논술형 평가 방식이 특징이다.
이에 대해 조 의원은 “IB 프로그램이 우리나라 교육 현실에 적합한지 우려된다”며 “영어 능력이 부족하거나 국제적 경험이 적은 학생들에게는 학습 부담을 가중시키고, 사교육비 증가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고 지적했다.
특히 “도내 15개 시군 중 7개 지역에서만 IB 교육이 운영돼 도농 간 교육격차를 심화시킬 우려가 있다”며 “충남형 IB학교 도입 전에 충분한 의견 수렴이 있었는지 검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조 의원은 “대학 서열화와 학벌 중심 사회구조 속에서 IB 프로그램이 실질적으로 어떤 역할을 할 것인지, 수능과의 연계 방안이 어떻게 마련될 것인지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학교 현장의 혼란을 막기 위한 교원 인사제도 개선도 언급했다. 조 의원은 “IB 프로그램 도입 이후 과중한 행정 업무와 수업 부담이 발생하고 있다”며 “초빙제 유연화, 우선전보 및 유예, 가산점 부여, IB 전문 인력풀 운영 등 교원 배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인사제도를 개선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그는 “타 시도에서는 IB학교 운영을 위해 가산점 부여, 학급당 학생 수 감축 등의 지원을 제공하고 있다”며 “충남도교육청은 적극적인 행정 조치와 사전 소통을 통해 학교 현장의 혼란을 최소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마지막으로 조 의원은 “국제 바칼로레아 프로그램의 초·중·고 연계 체계를 구축하지 않으면 도입 효과가 퇴색되고, 교육 현장에서 혼란이 불가피할 것”이라며 “같은 학군 내에서 단계별 교육 연계가 이루어져야 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