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천 거점소독시설 전경.

천안시가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 확산 방지를 위해 내년 2월까지 특별방역대책을 본격 가동한다. 최근 경기 파주에서 AI가 발생한 가운데, 천안시는 24시간 비상체계를 유지하며 지역 내 유입 차단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천안시는 지난달 26일부터 방역대책상황실을 운영하며 AI 대응을 위한 24시간 비상체제를 구축했다. 이는 경기 파주 토종닭 농가에서 고병원성 AI가 발생한 데 따른 선제적 조치로, 지역 내 확산을 막기 위한 대응 수위를 높인 것이다.

특별방역대책 기간 동안 시는 축산차량과 종사자의 철새도래지 출입 금지, 가금농장 및 축산시설 방문 전 거점소독시설 이용 의무화, 시도 간 가금류 분뇨차량 이동 제한 등 총 11종의 행정명령을 발령했다. 또한 동일 법인 소유 가금농장 간 기자재 공용 사용 금지, 방사사육 금지 등도 포함돼 있다.

천안시는 거점소독시설 3곳과 밀집지역 통제초소를 운영하며, 타 시도에서 유입되는 차량과 인원에 대한 소독을 집중적으로 실시하고 있다. 축산 관계자와 가금농가를 대상으로 한 방역조치도 강화됐다.

가금류 입식과 출하 과정에서도 방역이 강화된다. 입·출하 시 행정기관에 사전 신고를 통해 실시간 사육현황을 파악하고, 재입식 전 휴지기간 준수 및 과밀사육 방지를 통해 질병 유입을 차단한다. 출하 전 AI 검사를 실시하고, 이동승인서를 발급받아야만 이동이 가능하다.

철새를 통한 AI 전파를 막기 위한 조치도 병행된다. 철새도래지 인근 도로의 축산차량 출입을 통제하고, 농장 진입로 및 하천변 순회 소독을 실시한다. 또한 농경지 경운작업을 통해 철새 서식 환경을 변화시키는 등 다각적인 대응이 이뤄지고 있다.

시 관계자는 “AI 발생을 사전에 차단하기 위해 농가 예찰과 일제 소독을 강화하고, 지도·점검을 지속적으로 실시할 계획”이라며 “지역 축산업 보호와 시민 안전을 위해 총력 대응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