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도의회 김옥수 의원(서산1·국민의힘)이 청년정책의 실효성 강화와 기록물 관리 체계 구축, 환경 피해 보상 문제를 도정질문을 통해 집중 제기했다. 특히 청년들이 체감할 수 있는 정책 설계와 지역 환원형 환경 행정의 필요성을 강조하며 도정의 방향 전환을 촉구했다.
김옥수 의원은 지난 9일 열린 제361회 임시회 2차 본회의 도정질문에서 충남 청년정책의 구조적 한계를 지적하며, 유럽연합(EU)의 ‘청년기본보장제도’를 모델로 한 ‘충남형 청년기본보장제’ 도입을 제안했다. 그는 “청년 고용률이 45.3%에 불과하고, 충남 청년 인구 34만 명 중 약 18만 명이 비경제활동인구 또는 실업자”라며, 단순한 수치 중심 정책에서 벗어나 인턴·교육·재교육·취업까지 연계된 실질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김태흠 충남도지사는 “현재 112개 청년 관련 사업에 4,557억 원을 투입하고 있다”며, 일부 미진한 부분을 인정하고 EU 사례를 참고해 보다 실질적인 대책을 마련하겠다고 답했다.
김 의원은 이어 기록물 관리의 중요성을 언급하며, “공공기록물 관리법에 따라 충남도는 반드시 영구기록물 관리기관을 설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충남기록원과 도립박물관을 통합 건립해 도정·의회 기록뿐 아니라 시군 자료까지 보존·전시·활용할 수 있는 체계를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지사는 이에 대해 “예산상의 어려움으로 지연됐지만, 올해 연말까지 타 지역 사례를 검토하고 내년부터 단계적으로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또한 김 의원은 현대오일뱅크에 환경부가 부과한 1,761억 원의 과징금과 관련해 “서산 시민의 건강과 안전을 위협한 기업의 책임은 지역사회에 환원되어야 한다”며, 과징금의 지역 보상 필요성을 주장했다. 김 지사는 “환경부와 협의해 피해 주민이 발생하지 않도록 조치하겠다”고 답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