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9월 26일 밤, 대전 유성구에 위치한 국가정보자원관리원에서 발생한 전산실 화재가 전국 행정서비스에 큰 충격을 안겼다. 정부는 즉각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를 가동하며 국민 불편 최소화와 시스템 복구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사고는 9월 26일 오후 8시 15분경, 국가정보자원관리원 5층 전산실에서 리튬배터리 교체 작업 중 발생한 불꽃이 발화 원인으로 추정된다. 이로 인해 7-1 전산실이 전소되며 전산장비 740대와 배터리 384대가 피해를 입었고, 정부24, 인터넷우체국 등 647개 행정서비스가 일시 중단됐다.
정부는 다음 날 오전 8시 10분, 위기경보를 ‘심각’ 단계로 격상하고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를 본격 가동했다. 행정안전부 장관은 “인명 안전과 장애 복구를 최우선으로 하라”는 긴급 지시를 내렸으며, 대통령 주재 긴급회의도 개최되어 백업시스템 점검과 민간 협업을 통한 정보자원 관리체계 개편 필요성이 제기됐다.
복구 작업은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전소된 배터리는 모두 반출됐고, 항온항습기 수리 및 복구가 완료되었으며, 2~4층 전산실의 165개 시스템이 정상 가동 중이다. 특히 행안부의 ‘하모니’ 업무포털, 중기부의 ‘기업지원 플러스’, 문체부의 ‘나루’ 등 주요 시스템이 복구되며 행정서비스 연속성이 확보되고 있다.
대구센터로의 시스템 이전도 민관 합동으로 계획 중이며, 각 부처와 지자체는 콜센터 인력 증원, 임시 홈페이지 개설, 대체 민원서비스 제공 등 다각적인 대응에 나서고 있다.
오는 10월 9일에는 행안부 장관 주재로 제10차 중대본 회의가 예정되어 있으며, 같은 날 오후에는 행안부 차관이 정보시스템 복구 상황에 대한 브리핑을 진행할 계획이다. 정부는 이번 사태를 계기로 국가 전산망의 안정성과 회복력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정책을 재정비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