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난 대응의 핵심 장비로 떠오른 소방드론이 지역별로 운용 편차가 심각한 가운데, 장비 노후화와 시스템 미비로 인해 일부 지자체에서는 사실상 활용이 제한되고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소속 박정현 의원(더불어민주당, 대전 대덕구)은 소방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소방드론 운용현황’ 자료를 분석한 결과, 최근 5년간(2020~2024) 전국에서 총 13,810건의 소방드론 출동이 이뤄졌으며, 이 중 화재 대응 5,490건, 구조·수색 8,320건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하지만 지역별 운용 실적은 큰 격차를 보였다. 경북(1,705건), 경기(1,691건), 강원(1,414건) 등은 활발한 운용을 보인 반면, 대전광역시는 같은 기간 265건으로 전국 최하위 수준이었다. 특히 2024년에는 화재 5건, 구조·수색 9건 등 총 14건에 그쳐, 전국 지자체 중 가장 낮은 운용 건수를 기록했다.
박 의원은 “대전시는 2020년부터 소방드론을 도입했지만, 최근 운용 건수가 급감하고 있다”며 “장비 노후화와 운용 시스템 미비가 원인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실제로 대전시는 현재 14대의 소방드론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 중 11대는 2020년에 도입된 것으로 확인됐다. 2026년까지 추가 배치 계획도 없는 상황이다.
전국적으로는 2025년 기준 총 694대의 소방드론이 배치돼 있으며, 임무용 547대, 교육용 147대가 운영 중이다. 기체 제원별로는 4종(250g 초과 2kg 이하)이 451대로 가장 많고, 1종(25kg 초과 150kg 이하)은 11대에 불과하다.
박 의원은 “소방드론은 재난현장에서 현장지휘, 수색구조, 화재조사 등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는 ‘소방의 눈’”이라며 “사람의 생명을 구하는 장비인 만큼, 지역 간 운용 격차를 해소하고 시스템을 개선하는 데 정부의 적극적인 투자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