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사무감사 교육위원회

충남도의회 교육위원회(위원장 이상근)는 11월 10일 천안·아산교육지원청을 대상으로 2025년도 행정사무감사를 실시하고, 교육 현장의 안전성과 실효성 있는 정책 추진 방안을 집중적으로 점검했다.

이번 감사에서는 특히 학생 안전 확보와 지역 특화 교육체계 구축이 핵심 의제로 떠올랐다. 유성재 위원(천안5·국민의힘)은 “교사들이 체험학습 중 사고에 대한 법적 부담으로 인해 숙박형 프로그램을 기피하고 있다”며, “교사와 학생 모두를 보호할 수 있는 법적 장치 마련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신한철 위원(천안2·국민의힘)은 고교학점제 운영의 혼란을 지적하며, “정책 안내 부족으로 학생과 학부모의 혼선이 크다”며 “현장 의견을 반영한 실질적인 대응체계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선태 위원(천안10·더불어민주당)은 “학생 중심의 지역도서관 운영이 필요하다”며, “지역사회와 연계한 교육 공간으로 발전시켜야 한다”고 제안했다. 또한 지역소멸 대응을 위한 협의체 구성도 함께 주문했다.

이지윤 위원(비례·더불어민주당)은 기간제 교사의 담임 배정 문제와 아동학대 대응 미흡을 지적하며, “도교육청과 사학재단이 현장의 목소리를 적극 수렴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방한일 위원(예산1·국민의힘)은 외부 전문 강사 활용 확대와 중증장애인 생산품 활용 확대를 통해 교육 경쟁력을 높여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용국 부위원장(서산2·국민의힘)은 학교폭력 피해 학생 보호를 위한 심의위원회 운영 환경 개선과, 흡연·약물 예방교육의 실효성 강화를 위한 특색 있는 프로그램 개발을 촉구했다.

김응규 위원(아산2·국민의힘)은 “충남의 미래교육은 지역별 인구와 산업 구조를 반영한 조직 설계가 필요하다”며, “다문화 가정이 많은 지역에는 맞춤형 인력 배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상근 위원장은 “교육청은 현장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고, 학생 안전을 위한 제도 개선에 적극 나서야 한다”며, “정부 정책이 지역 현실과 맞지 않을 경우, 도교육청과 교육지원청이 유기적으로 대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