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남도가 집중호우 피해 복구를 위해 8개 시군의 신속한 특별재난지역 추가 지정을 정부에 요청했다. 이와 함께 지방하천·소하천 개선복구 사업비로 4000억 원을 지원해 줄 것도 건의했다.
26일 박정주 충남도 행정부지사는 서산 도당천과 예산군 덕산면 복합체육센터 내 통합지원센터를 방문해 김광용 행정안전부 재난안전관리본부장과 함께 피해 현장을 점검하고, 복구 상황을 논의했다.
박 부지사는 “서산과 예산을 제외한 도내 8개 시군이 이미 특별재난지역 기준을 초과했다”며 “도민이 하루라도 빨리 일상으로 복귀할 수 있도록 신속한 추가 선포가 절실하다”고 밝혔다.
25일 기준 충남 8개 시군 피해액은▲아산시 534억▲당진시 429억▲홍성군 293억▲천안시 197억▲공주시 192억▲서천군 158억▲청양군 126억▲부여군 108억
각 시군은 정부가 제시한 지정 기준(천안·아산 142.5억 원 등)을 모두 초과한 상황이다. 그러나 현재까지 지정된 지역은 서산과 예산뿐이다.
현장에는 여전히 무너진 도로와 침수된 하천이 널려 있었으며, 주민들은 마스크와 장화를 신고 토사 제거에 매달리고 있었다. 자원봉사자들은 구슬땀을 흘리며 집기류를 정리했고, 일부 지역에선 텐트가 임시 거처로 설치된 모습도 보였다.
충남도는 지방하천 302건, 소하천 616건에 피해가 발생한 것으로 집계했다. 박 부지사는 “기능복구가 아닌 구조적 개선이 필요한 지역이 23곳”이라며 “다시는 같은 피해를 반복하지 않도록 관련 사업비 4000억 원을 지원해달라”고 요청했다.
특히, 저수지와 배수펌프시설 등의 개선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박 부지사는 “기존 방식으로 복구해선 반복적인 침수 피해를 막을 수 없다”고 밝혔다.
주택 침수 피해에 대한 정부 지원금은 350만 원. 그러나 실제 복구에는 최소 700만 원 이상이 소요된다는 분석이다. 박 부지사는 “충남도는 매년 자체 예산으로 부족한 부분을 메워왔지만, 이제는 제도적인 변화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날 현장 점검에서 김광용 본부장은 “27일부터 8월 2일까지 중앙합동조사단이 충분한 피해 조사를 실시할 것”이라며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추가 지정 여부를 적극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또한 “지방하천 복구 예산 등 나머지 건의 사항도 기획재정부와 대통령에게 전달하겠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