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차된 차량에 남겨진 전화번호가 범죄의 단서가 되는 시대. 천안시의회 이지원 의원이 시민의 개인정보 보호와 안전을 위해 ‘차량 안심번호 서비스’ 도입을 강력히 촉구했다. 전국 지자체들이 이미 시행 중인 가운데, 천안시는 아직 검토 단계에도 이르지 못한 실정이다.
천안시의회 제282회 임시회 제1차 본회의에서 이지원 의원(국민의힘, 성거읍·부성1동)은 5분 발언을 통해 차량 주차 시 노출되는 전화번호가 스토킹, 보이스피싱, 협박 등 각종 범죄에 악용되고 있다며, 천안시 차원의 대응이 시급하다고 밝혔다.
이지원 의원은 “선의로 남겨둔 연락처가 오히려 생명을 위협하는 도구가 되고 있다”며, 실제 사례로 2021년 아파트 주차장에서 차량 전화번호 600여 개가 무단 수집된 사건과, 2024년 서울 아파트 단지에서 차량 연락처를 촬영하다 적발된 사건을 언급했다.
특히 천안시는 1인 가구 증가율이 높아 범죄 노출 위험이 더욱 심각하다는 분석이다. 2020년 11만8천 가구였던 천안시 1인 가구는 2024년 13만7천 가구로 16.1% 증가했으며, 충남 여성 1인 가구도 같은 기간 17.4% 늘어났다.
반면 보령시(2018년 전국 최초 도입), 제주시(QR코드 기반 시스템, 행안부 혁신사례 선정), 서울 중구(무료 배부) 등은 이미 차량 안심번호 서비스를 시행 중이다. 이 의원은 “검증된 시스템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천안시는 아직 아무런 움직임이 없다”고 지적했다.
그는 천안시가 도입해야 할 구체적 방안으로 ▲천안형 모델 개발 및 시범 운영 ▲민간 전문업체와의 협력을 통한 경제적 운영 ▲112 신고체계 및 CCTV 연계를 통한 종합 안전망 구축 등 세 가지 전략을 제시했다.
이지원 의원은 “여성친화도시를 표방하는 천안시가 정작 여성 안전 서비스에서는 뒤처져 있다”며, “70만 시민이 더 이상 불안 속에서 주차하지 않도록 시가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