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일, 충남도는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제2캠퍼스 대강당에서 ‘지방정부 및 지역 노동정책 추진 방안 마련 집담회’
충남도가 중앙정부의 노동정책 방향에 발맞춰 지역 맞춤형 과제를 발굴하기 위한 본격적인 행보에 나섰다. 정부의 국정운영 5개년 계획 발표 이후, 지방정부의 역할이 재조명되는 가운데, 충남도는 노동 현장의 목소리를 반영한 정책 설계를 위한 집담회를 개최했다.
9일, 충남도는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제2캠퍼스 대강당에서 ‘지방정부 및 지역 노동정책 추진 방안 마련 집담회’를 열고, 중앙정부의 정책 방향성과 지역 현실 간 접점을 모색했다. 이번 행사는 충남노동권익센터와 충남노사민정협의회가 공동 주관하고, 충남도와 고용노동부 대전지방고용노동청이 공동 주최했다.
현장에는 도내 시군 노동업무 담당자, 비정규직지원센터 관계자, 노사단체, 인사·노무 전문가 등 약 200명이 참석해 열띤 논의를 펼쳤다. 특히 정흥준 서울과학기술대 교수(국정기획위원회 전문위원)는 ‘중앙정부의 노동정책 방향과 지방정부의 역할’을 주제로 발표하며, 지방정부가 단순한 정책 수용자가 아닌 능동적 정책 설계자로서의 역할을 강조했다.
참석자들은 발표 내용을 바탕으로 지역 노동환경에 적합한 정책 과제를 제안하고, 실현 가능성을 중심으로 토론을 이어갔다. 현장에서는 비정규직 보호, 안전한 노동환경 조성, 지역 산업 특성에 맞춘 고용 전략 등 다양한 의견이 오갔다.
충남도 관계자는 “이번 집담회는 중앙과 지방의 정책 간극을 좁히고, 도민의 노동권익을 실질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정책 기반을 마련하는 데 의미가 있다”며 “현장 의견을 반영해 실효성 있는 노동정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