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공간 재구조화 및 재생 기본계획수립 용역 착수보고회를 진행하고 있다.
천안시가 농촌 난개발과 지역소멸 위기에 대응하기 위한 중장기 전략 수립에 본격 착수했다. 시는 9월 15일 시청 중회의실에서 ‘농촌공간 재구조화 및 재생 기본계획’ 수립을 위한 용역 착수보고회를 열고, 향후 10년간의 농촌 정책 방향을 공유했다.
이번 기본계획은 농촌다움을 회복하고 주민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천안시 농촌 분야 최상위 계획으로, 농림축산식품부와 체결한 410억 원 규모의 기초생활거점조성사업을 포함한 8개 패키지 사업의 추진상황을 점검하며 시작됐다.
천안시는 12개 읍면을 대상으로 지역별 발전 전략과 사업계획을 수립했으며, 향후 농촌특화지구 후보군을 도출하기 위한 주민설명회를 통해 지역 주민의 의견을 적극 반영할 계획이다. 이는 단순한 행정 계획을 넘어, 주민 참여형 농촌 재생 모델을 구축하려는 시의 의지를 반영한 것이다.
착수보고회와 함께 열린 농촌공간정책심의회 및 농촌협약위원회 회의에서는 농촌 생활환경 정비, 거점기능 강화, 주민 참여 확대 등 핵심 정책 방향이 논의됐다. 농촌공간정책심의회는 지난해 3월 시행된 ‘농촌공간 재구조화 및 재생지원에 관한 법률’에 따라 구성된 기구로, 향후 천안시의 관련 시책에 대해 심의·의결 및 자문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명열 농업환경국장은 “주민과 함께하는 농촌정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해 살기 좋고 활력 있는 농촌공간을 만들어 나가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