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남도가 태안화력발전소 폐지에 따른 지역경제 충격을 최소화하고, 에너지 전환 시대에 대응하기 위한 본격적인 논의에 착수했다. 9월 15일 도청 별관에서 열린 ‘태안화력발전소 폐지 대응 TF 회의’에서는 특별법 제정과 정의로운 전환 전략을 중심으로 실질적인 대안 마련이 논의됐다.
태안군은 올해 1호기 폐지를 시작으로 2037년까지 총 10기 중 8기의 석탄화력발전소를 단계적으로 폐쇄할 예정이다. 발전산업 의존도가 높은 지역 특성상 세수 감소, 인구 유출, 고용 불안 등 복합적인 경제 충격이 우려되는 가운데, 충남도는 이를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TF를 구성하고 18개 대응 과제를 발굴해왔다.
이번 회의에는 충남도와 태안군, 한국서부발전, 충남경제진흥원, 대전지방노동청 등 관계기관이 참석해 근로자 지원과 지역 산업 전환 방안을 공유했다. 주요 보고 내용은 △화력발전소 폐지 대응계획 △근로자 지원사업 현황 △석탄화력 폐지지역 특별법 추진 상황 △정의로운 전환 특구 지정 계획 △에너지전환지원센터 운영 방안 등이다.
태안군은 발전소 폐지에 따른 재정 손실을 보전하기 위한 국도38호선 해상교량 건설, 공공주도 해상풍력단지 조성, 북부권 관광자원 개발 등 지역 맞춤형 대안을 제안했다.
충남도는 올해 태안화력 1호기 폐지를 시작으로 지역 피해가 현실화되고 있는 만큼, 지원 기금 설치, 대체산업 육성, 신재생에너지 보급 확대, 노동자 재취업 촉진 등 핵심 지원 사항을 담은 특별법 제정에 속도를 낼 계획이다. 특히 10월 개소 예정인 ‘에너지전환지원센터’를 통해 근로자 대상 지원이 본격화될 전망이다.
도 관계자는 “도와 군, 서부발전이 함께 대응 기반을 마련해온 만큼, 이번 회의가 실질적인 성과로 이어져야 한다”며 “태안이 신재생에너지 전환의 중심지로 도약할 수 있도록 행정력을 집중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