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징계요구서

천안시의회 국외출장과 관련한 비위 의혹이 확산되는 가운데, 장혁 시의원이 실무자 수사에 대한 유감을 표하며 제도 개선을 촉구하고 나섰다. 그는 출장 예산 전액 삭감과 제도적 정비를 요구하며, 윤리특별위원회 회부에 대해서도 강한 반발을 나타냈다.

2023년 천안시의회 소속 사무직 직원 3명이 공무 국외출장과 관련해 경찰 수사를 받고 있는 가운데, 장혁 시의원은 “이들은 억울한 측면이 있다”며 “오랜 관행과 미비한 규정, 그리고 시의원들의 압박 속에서 실무자들이 어쩔 수 없이 따를 수밖에 없었다”고 주장했다.

국민권익위원회가 전국 지방의회 234곳을 대상으로 실시한 국외출장 실태 점검 결과, 절반에 가까운 44.2%가 항공권을 위변조하거나 여비를 허위 청구한 것으로 드러났다. 권익위는 이 같은 행위에 대해 수사기관에 수사를 의뢰하고, 해당 지자체에 징계 및 환수 조치를 통보했다.

장 의원은 “천안시의회는 내년도 국외출장 예산을 전액 삭감하고, 실무자들이 안심하고 업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구체적인 규정을 마련해야 한다”며 “이를 위한 토론회를 개최하라”고 지도부에 강력히 요청했다.

한편, 장 의원은 자신이 윤리특별위원회에 회부된 것에 대해 “징계 요구서조차 제대로 전달받지 못했고, 발의 의원들의 이름은 먹물로 지워져 있었다”며 “징계 사유에 대해 서면으로 구체적으로 제시해달라”고 요구했다. 그는 해당 사안에 대해 유튜브나 페이스북을 통한 생중계 디베이팅도 제안했다.

또한 윤리특위 위원장 이상구 의원이 해당 출장 제안자 중 한 명으로 거론된 점을 들어 “공정한 심사를 기대할 수 없다”며 회피 신청을 했다. 그는 윤리특위의 전 과정 공개와 청내 방송 송출도 요구하며, “수사가 완료된 후 공정한 자문위원회가 구성된 뒤에 심사를 진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