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고령사회로 진입한 충남에서 요양 돌봄 인력 부족이 심화되는 가운데, 교육 품질을 높여 전문성을 강화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왔다. 충남도의회 박정수 의원은 본회의 발언을 통해 “요양보호사 교육기관의 질적 관리가 어르신 돌봄 신뢰 회복의 출발점”이라며 ‘충남형 우수 교육기관 지정제’ 도입을 제안했다.
충남도의회 박정수 의원(국민의힘·천안9)은 11월 5일 열린 제362회 정례회 제1차 본회의에서 “충남의 고령화율은 22.8%로 이미 초고령사회 기준을 넘어섰으며, 요양보호사 인력난은 갈수록 심각해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건강보험연구원 분석에 따르면 올해 충남에서만 요양보호사 약 3,700명이 부족하며, 2028년에는 전국적으로 11만 6,000여 명의 인력이 부족할 것으로 전망된다. 박 의원은 “요양보호사 수요는 급증하는데, 교육기관의 운영 실태는 이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고 우려를 표했다.
현재 충남에는 요양보호사 교육기관이 51곳 운영 중이지만, 일부 기관은 형식적인 교육과 낮은 품질로 인해 현장에 적합한 인력을 배출하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박 의원은 “요양보호사는 단순한 직업이 아니라 어르신의 생명을 다루는 전문가”라며 “교육기관의 질적 관리와 제도적 장치 마련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가 제안한 ‘충남형 우수 요양보호사교육기관 지정제’는 ▲강사진의 전문성 ▲실습교육의 질 ▲교육과정의 최신성 ▲수강생 만족도 ▲취업 연계 실적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해 우수기관을 지정하고, 행정·재정적 지원을 연계하는 방식이다. 이를 통해 부실기관은 자연스럽게 정리되고, 성실한 기관은 명예와 인센티브를 얻는 선순환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는 설명이다.
박 의원은 “제도가 정착되면 양질의 요양보호사가 늘어나고, 충남의 돌봄 서비스에 대한 신뢰도도 높아질 것”이라며 “도민 모두가 안심하고 노년을 살아갈 수 있는 환경을 만들기 위해 충청남도가 선도적으로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박 의원은 “돌봄 인력의 전문성은 곧 어르신의 안전과 직결된다”며 “충남형 지정제는 단순한 행정조치가 아니라 도민의 품격 있는 노후를 보장하는 실질적 정책이 되어야 한다”고 발언을 마무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