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환경 냉매 전환 히트펌프 고도화 지원 촉구 건의안

기후위기 대응과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기술 전환의 필요성이 커지는 가운데, 충남도의회가 ‘친환경 냉매 전환’을 탄소중립 실현의 출발점으로 제시했다. 구형서 의원은 “냉매 전환은 단순한 기술이 아니라 국가의 기후책임과 산업 전략”이라며 정부의 적극적인 대응을 촉구했다.

충남도의회는 11월 5일 열린 제362회 정례회 제1차 본회의에서 구형서 의원(더불어민주당·천안4)이 대표 발의한 「친환경 냉매 전환을 통한 히트펌프 고도화 지원 촉구 건의안」을 채택했다. 이번 건의안은 불소계 냉매 감축과 천연냉매 전환을 위한 국가 전략 수립, 안전성 검증 및 표준화 체계 강화, 재정 지원 확대 등을 정부와 국회에 공식 요청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히트펌프는 공기, 지하수 등 주변의 열을 활용해 냉난방을 구현하는 기술로, 재생에너지와 결합할 경우 온실가스 배출 없는 ‘무탄소 냉난방’이 가능해 탄소중립 핵심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그러나 국내 냉난방 기기에는 여전히 지구온난화지수(GWP)가 높은 불소계 냉매가 사용되고 있어, 국제 규제 강화 속에서 산업 경쟁력 저하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구형서 의원은 “히트펌프 기술이 아무리 발전해도 냉매가 친환경으로 전환되지 않으면 진정한 탄소중립은 실현될 수 없다”며 “지금이 바로 냉매 정책의 패러다임을 전환할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EU는 이미 암모니아, 이산화탄소, 프로판 등 저GWP 천연냉매 중심의 기술 전환을 법제화했으며, 키갈리 개정의정서에 따라 선진국들은 2036년까지 불소계 냉매를 단계적으로 감축하고 있다”며 “우리도 국제 흐름에 뒤처지지 않도록 국가 차원의 로드맵을 조속히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냉매 전환은 단순한 기술 문제가 아니라, 대한민국이 국제사회에서 책임 있는 기후행동 국가로 자리매김하기 위한 산업 전략이자 미래 경쟁력의 핵심”이라며 정부와 국회의 적극적인 입법과 정책 반영을 촉구했다.

충남도의회는 이번 건의안을 대통령실, 국회, 기후환경에너지부 등 관계기관에 전달하고, 국가 차원의 종합대책 마련을 요청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