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종혁 의원

충남 청소년들이 직접 제안한 정책 아이디어가 도의회에서 공론화되며 실질적인 변화의 가능성을 열고 있다. 충남도의회 안종혁 의원은 본회의 발언을 통해 “청소년은 미래의 시민이 아닌 오늘의 정책 주체”라며, 제안이 실질적 정책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제도적 뒷받침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충남도의회 안종혁 의원(국민의힘·천안3)은 11월 5일 열린 제362회 정례회 제1차 본회의에서 “청소년들이 제시한 정책 제안이 단순한 체험으로 끝나지 않고, 행정과 교육 현장에서 실질적 변화로 이어져야 한다”고 밝혔다.

앞서 지난달, 천안서여자중학교 학생들이 ‘청소년 의회교실’ 프로그램을 통해 도의회를 방문해 두 가지 정책 제안을 직접 발표했다. 이들은 ▲시내버스 교통 불편 해소와 ▲생활 속 탄소중립 실천 확산을 주제로, 지역사회가 함께 참여할 수 있는 실천형 아이디어를 제시했다.

학생들은 버스 배차 간격이 길고 일부 정류장에서 승하차가 원활하지 않아 시민들의 이동 불편이 크다는 점을 지적하며, 학교 주변과 생활권 중심의 정류장 확충 및 배차 조정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안 의원은 “충남도와 천안시, 운송업계가 함께 참여하는 협력 구조를 마련해 교통체계 개선을 논의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또한 학생들은 텀블러 사용, 대중교통 이용, 분리배출 등 탄소중립 실천을 SNS 챌린지 방식으로 확산시키는 캠페인을 제안했다. 이는 별도의 예산 없이도 학교, 지자체, 지역사회가 함께 참여할 수 있는 환경정책으로 평가된다.

안 의원은 “청소년은 단순히 미래를 준비하는 존재가 아니라, 지금 이 순간 정책을 제안하고 실천할 수 있는 주체”라며 “이들의 제안이 실무 논의와 정책 검토로 이어질 수 있도록 도의회가 적극적으로 점검하고 지원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