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영호 의원

기후위기와 반복되는 극한호우에 대비해 금강하굿둑의 구조 개선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충남도의회 신영호 의원은 본회의 발언을 통해 “배수갑문 확장을 위한 타당성 조사와 예산 확보가 선행돼야 한다”며, 충남도가 정부와 협력해 실질적인 대응에 나설 것을 촉구했다.

충남도의회 신영호 의원(국민의힘·서천2)은 11월 5일 열린 제362회 정례회 제1차 본회의에서 “금강하굿둑의 배수갑문 확장은 단순한 시설 개선이 아니라, 생태복원과 주민 안전을 위한 핵심 과제”라고 강조했다.

신 의원은 “정부가 국정과제로 추진 중인 금강하구 생태복원은 환경보호, 기후위기 대응, 지역 균형발전 등 다양한 효과가 기대되지만, 이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특별법 제정과 예비타당성 조사, 사전 영향평가 등 정교한 검증 절차가 반드시 필요하다”고 말했다.

특히 금강하굿둑 내 배수갑문이 설치되지 않은 구간에서는 퇴적토가 쌓이고 배수 효율이 떨어지면서 하류 수위 상승과 농경지 침수 위험이 커지고 있다는 점을 지적했다. 신 의원은 “대청댐의 최대 방류량이 현재 배수갑문 통수량을 30% 이상 초과하고 있어, 홍수 시 신속한 수위 조절이 불가능한 구조”라고 설명했다.

그는 “매년 반복되는 극한호우에 대비해 배수갑문 확장을 통해 안정적인 수위 관리 능력을 확보해야 한다”며 “이는 단순한 수문 개방이 아니라 하천·농업·생태·주민이 조화를 이루는 통합적 접근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신 의원은 충남도가 정부와 긴밀히 협력해 타당성 조사 예산을 확보하고, 실질적인 로드맵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기후위기 시대에 대응하기 위해 금강하굿둑의 구조 개선은 생태계 복원과 주민 삶을 동시에 지키는 현실적인 해법”이라고 덧붙였다.

신 의원은 “금강하굿둑은 단순한 수리시설이 아니라 지역 생태와 안전을 좌우하는 전략적 인프라”라며 “충남도가 주도적으로 나서 타당성 조사와 정책 설계를 이끌어야 한다”고 발언을 마무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