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일 당진 KG스틸에서 열린 ‘제9차 경제상황 현장 점검회의’에서 김태흠 지사와 기업 관계자들이 모여 철강업 경쟁력 강화와 산단 재생 방안을 논의
충남도가 철강산업 위기와 노후 산업단지 문제 해결을 위해 대규모 지원책을 내놓았다. 17일 당진 KG스틸에서 열린 ‘제9차 경제상황 현장 점검회의’에서 김태흠 지사와 기업 관계자들이 모여 철강업 경쟁력 강화와 산단 재생 방안을 논의했다. 이번 회의는 단순한 현안 점검을 넘어, 지역 제조업의 미래 전략을 구체화하는 자리로 의미를 더했다.
회의에는 도 관계자와 철강기업 등 11개 기업 관계자 19명이 참석했다. 도는 이날 ▲노후 산단 지원 확대 ▲철강업 위기 대응 지역 지정 추진 ▲수출기업 금융·보험 지원 강화 등 종합 대책을 보고했다.
특히 중국산 저가 공급과 미국의 50% 관세 부과 등 대외 환경 악화 속에서, 충남도는 ‘당진 철강 산업 위기 선제 대응 지역 지정’을 연내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지정 시 기업들은 경영안정자금, 대출 만기 연장, 지방투자촉진보조금 우대 등 다양한 금융·행정 혜택을 받을 수 있다.
도는 올해 이미 수출기업 금융 지원 1000억 원을 집행하고, 무역보험 지원을 350개사에서 1350개사로 확대했다. 또한 해외사무소 7곳과 통상자문관 6명을 활용해 해외시장 개척을 지원하고 있다.
노후 산단 경쟁력 강화도 핵심 과제로 제시됐다. 도내 129개 산단 중 63%인 81개가 20년 이상 된 노후 산단으로, 충남도는 ▲정주 여건 개선 ▲스마트 그린 산단 전환 ▲근로자 복지시설 확충 등을 추진한다.
구체적으로는 당진 아산국가산단(부곡지구)에 2028년까지 6740억 원을 투입해 △그린 철강·미래 모빌리티 전환 △디지털 전환(DX) 산업 지원 △근로자 숙소 및 문화시설 확충을 진행한다. 또한 2035년까지 태양광 설비 1524㎿를 달성하기 위해 내년부터 자가소비형 태양광 설치 지원도 시작한다.
김태흠 지사는 “철강업계의 위기 극복을 최우선 과제로 삼고, 연말까지 당진시가 산업 위기 선제 대응 지역으로 지정되도록 총력을 다하겠다”며 “AI 디지털 전환과 그린 철강으로 제조업 경쟁력을 높이고, 산단 정주 기반 마련에도 힘을 쏟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