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362회 정례회 행정사무감사 기획경제위원회
충남도의회 기획경제위원회가 충남연구원과 충남평생교육진흥원을 대상으로 실시한 행정사무감사에서 조직 운영, 재정 관리, 인사 제도 등 전방위적인 쇄신을 강력히 주문했다. 위원들은 연구원의 싱크탱크 기능 약화와 관리 부실을 우려하며, 책임성과 투명성을 강화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안종혁 위원장(천안3·국민의힘)은 충남연구원의 조직 운영과 회계 관리 전반을 점검하며 “정원 대비 현원이 크게 부족하다”며 인력 보강을 촉구했다. 그는 반복되는 예산 잔액과 자산 변동 문제를 지적하며 “예산·재정 운용 전반의 구조적 개선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구형서 부위원장(천안4·더불어민주당)은 장기교육훈련 관리 부실을 지적했다. 그는 “교육 후 보고서 제출과 학술지 게재 의무가 지켜지지 않았다”며 규정 준수 강화를 요구했다. 또한 교육 대상자 선정 과정의 공정성 확보와 연구 역량 강화를 위한 KCI 등재지 기준 도입을 제안했다.
이종화 의원(홍성2·국민의힘)은 복무 관리와 출장 운영 문제를 언급하며 “최근 3년간 출장 건수가 2만 7천 건을 넘었다”며 과도한 출장 관행 개선을 촉구했다. 그는 미래 전략산업 연구 비중 확대와 R&D 성과의 도정 반영 필요성도 강조했다.
안장헌 의원(아산5·더불어민주당)은 PBS 제도 폐지와 관련해 “수탁 과제 통제는 연구자에게 부담”이라며 원장의 책임 있는 운영을 요구했다. 또한 원장의 세종 거주와 관용차 출퇴근 논란을 지적하며 “도민 눈높이에 맞는 운영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정우 의원(청양·더불어민주당)은 감사 지적과 중징계 사례를 언급하며 “인사·감사 통제 시스템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고 있다”고 비판했다. 그는 연구기관 내 성폭력 2차 피해 사건을 지적하며 인권 보호와 내부 규율 강화 필요성을 강조했다.
박정식 의원(아산3·국민의힘)은 연구자가 평균 4.5건의 과제를 수행하는 현 체계를 지적하며 “연구 품질 저하가 우려된다”고 말했다. 그는 반복적 수탁 과제가 싱크탱크 기능을 약화시키지 않도록 관리 강화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지민규 의원(아산6·무소속)은 충남연구원 구성원의 충남 거주 비율이 낮은 점을 문제 삼았다. 그는 “임직원 176명 중 충남 거주자는 41%에 불과하다”며 책임성과 현실성이 부족하다고 비판했다. 또한 수의계약 자료 누락과 절차상의 문제를 지적하며 감사위원회와 자체 감사 강화를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