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도

충남도가 ‘산림으로 잘 사는 충남’을 목표로 한 20년 장기 전략을 내놓았다. 기후위기와 산촌 소멸, 인공지능 등 첨단기술 발전에 대응하기 위한 이번 청사진은 2026년부터 2045년까지 단계적으로 추진된다.

도는 19일 ‘충남형 미래 산림 전략(2026~2045)’을 발표하며 산림을 지역경제와 생활환경의 핵심 자원으로 육성하겠다는 비전을 밝혔다. 이번 전략은 △기후위기 대응 산림 탄소숲 △소득을 키우는 산림 △휴식을 품은 산림 △사계절 안전한 산림 등 4대 분야, 27개 세부 과제로 구성됐다. 총 사업비는 5조 7,689억 원 규모다.

먼저 기후위기 대응을 위해 고부가가치 수종을 집중적으로 조림해 경제림을 조성하고, 산림 탄소흡수량을 현재 109만 톤에서 2045년까지 151만 톤으로 38% 늘릴 계획이다. 이를 위해 상수리, 밀원수 등 탄소흡수력이 높은 수종을 확대한다.

소득 증대 분야에서는 알밤을 ‘K-대표 임산물’로 육성하고, 스마트팜을 도입해 임가소득을 현재보다 60% 높은 6,000만 원까지 끌어올린다는 목표를 세웠다. 국제밤산업박람회 개최와 국립밤연구센터 유치도 포함됐다.

휴식과 치유를 위한 산림 분야에서는 의료 기능을 접목한 산림치유 프로그램을 확대하고, 목조건축물로 산림자원연구소를 조성해 목재 랜드마크를 만든다. 또한 안면도에 정원산업 허브를 조성하고 국립예산 산림치유원 유치를 추진한다.

사계절 안전한 산림을 위해서는 스마트기술을 활용한 산불 예방·진화 시스템, 산사태 대응력 고도화, 국립 서해안 산불방지센터 유치, 산림재난센터 설치 등 과학적 재난관리 체계를 구축한다. 도는 2026년 농림위성 발사와 AI·ICT 기술 발전에 맞춰 산림재난 대응을 첨단화할 방침이다.

박정주 충남도 행정부지사는 “이번 전략은 충남 산림을 기후위기 대응과 지역경제 활성화의 핵심 자원으로 도약시키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수립된 계획을 차근차근 실행해 ‘산림으로 잘 사는 충남’을 반드시 실현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