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근 의원

충남도의회가 내포신도시 완성을 둘러싼 주요 현안에 대해 다시 한 번 목소리를 높였다. 이상근 의원(홍성1·국민의힘)은 제362회 정례회 도정질문에서 내포신도시 명칭과 ‘내포역’ 역명 논란, 홍성 국가산단 조성, 도시리브투게더 사업, KAIST 영재학교 설립 지연 문제 등을 집중 점검하며 “모두가 납득할 수 있는 기준과 실효성 있는 대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 의원은 먼저 내포신도시 명칭 혼란을 지적했다. “조성 13년째인데도 법적·행정적 공식 명칭이 정리되지 않아 주민들이 혼란을 겪고 있다”며, 충남도 지명위원회 결정에 맞춰 ‘내포신도시’를 행정 명칭으로 확정할 것을 요구했다. 그는 향후 홍성·예산 행정통합 논의와 연계해 법적 지위를 분명히 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서해선 고속전철 삽교역(가칭 내포역) 명칭 논란에 대해서도 “내포신도시 면적의 63%가 홍성군임에도 불구하고 ‘내포역’으로 일방 추진된다는 우려가 크다”며, 역명 확정 전 주민 의견 수렴과 설득 과정을 반드시 거쳐야 한다고 주장했다.

홍성 국가산단 조성과 관련해선 “도와 홍성군이 어렵게 유치한 국가산단이 단순한 간판용 산단으로 끝나선 안 된다”며, 지역경제를 실질적으로 견인할 수 있는 앵커기업 유치가 핵심이라고 강조했다.

‘충남 도시리브투게더’ 사업에 대해서는 청년·신혼부부·다자녀 가구 등 주거 취약계층을 위한 제도적 보완을 촉구했다. 그는 “보증금 1억 8천만 원, 최대 80%까지 1.7% 장기 저리 대출이라는 조건이 반드시 지켜져야 입주 예정자의 혼란을 막을 수 있다”며, 민간 아파트보다 분명한 이점을 체감할 수 있도록 도가 책임 있게 제도를 설계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마지막으로 KAIST 부설 영재학교 설립 지연 문제를 언급하며 “우수한 타당성 평가에도 불구하고 정권 교체 이후 사업이 보류된 것은 매우 아쉽다”며, 지사의 지속적인 설득 노력이 실제 예산 반영과 사업 재추진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끝까지 챙겨 달라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