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0년 8월 31일 창단한 아산시립합창단이 비상임에서 상임으로 전환 요구를 요청하고 있다.
이에 3일, 오세현 아산시장이 취임 100일 기자회견 후 질의에서 상임화에 대한 긍정적인 검토를 추진중인 것으로 알려지면서, 상임화에 대한 추가 시민들의 의견을 들어볼 필요가 있다는 의견도 나오고 있어 향후 논란이 예상된다.
아산시립합창단 1년 예산은 2025년 18억 5천 5백만 원으로 2000년 창단해 단원수는 정원 50명중 46명이 현재 근무하고 있다.
고용형태는 비상임 단시간 근로자로 주15시간 미만인 1일 3시간, 주 4일 근무로 화요일부터 금요일 까지 오전 10시부터 13시까지 3시간을 근무를 한다.
거주지 및 연령 현황은 아산시 14명 관외 32명으로 20대 2명, 30대 13명, 40대 26명, 50대 5명이다.
또한 복지로 4대보험 가입과 퇴직금은 적립 및 지급으로 법적 의무는 없으나 지급을 하고 있고, 복지포인트로 평균 150만 원을 수령하고, 격년 건강검진도 지원하고 있다.
그리고 현재 비상임에서 상임으로 전환 요구를 하는 이유는 상임화 될 경우 주 15시간 이상으로 근로를 계약해 기간제법 제4조 2항에 따라 기간의 정함이 없는 기간제 근로자로 인정을 하는 것으로 근로자의 고용 안전에 목표를 두고 진행되는 것이다.
이에 아산시청 관계자는 “아산시립합창단이 타지역과 비교해 대우가 탑일 정도로 대우가 나쁘지 않다”며 “2년마다 계약을 하지만 해촉한 사례는 25년간 단 한번도 없고 평가도 없었다”며 “자신이 근무를 원하면 자동갱신 된다”고 전했다.
이어 “근무 시간이 10시부터 13시까지 이고, 츨퇴근은 수기로 기록되고 있다”고 말했다.
3일, 오세현 아산시장의 취임 100일 기자회견 후 아산시립합창단의 상임화에 대한 질의에 오세현 시장은 “고용안정을 위해 상임화에대한 긍정적 검토를 하고있다”고 밝혔다.
▲3일, 아산시 오세현 시장이 취임 100일 기자회견을 브리핑룸에서 하고있다
이에 뉴스온라인와 아산데일리는 오세현 시장과의 질의응답 후, 아산시립합창단 현장방문을 실시했다.
하지만 아산시립합창단에 12시 20분경 도착했지만 관계자 3명을 제외하고 아무도 없었다.
이날 아산시립합창단 근무시간은 오전10시부터 13시 까지였다.
이날도 출석은 수기로 하고 있었다.
이에 아산시립합창단 관계자는 “내일 행사가 있고, 날씨가 더워져 내일 연주를 위해서 쉬라고 일찍 끝내고 조별 연습을 진행했다”고 답했다.
▲아산시립합창단에 아산시가 지난 6월 30일 지문인식을 설치했지만, 지문 등록이 않되어 아직 사용하지 않고 있다
그리고 “아산시청에서 지문인식 출퇴근 기록장치를 6월 30일 월요일 달아 줬다”며 “다음주중 지문등록을 통해 사용하려 한다”고 전했다.
이어 상임화를 단원들이 전부 원하는지에 대한 질문에 관계자는 “단원들의 생각이 전부 다르다”며 “40명이 전부 똑같지는 않다”고 밝혔다.
또 “앞에서는 이야기 못하지만 뒤에서는 상임화 반대를 하는 단원도 있는데 이유는 자유로운 근무가 되어야 하는데, 상임화로 추가로 연습을 해야하고, 빨리 퇴근하고 싶지만 못하는 경우가 생길 것이라는 우려가 있다”고 말했다.
아산시의회 명노봉 의원은 “상임화 될 경우 장단점이 존재한다”며 “장점으로 상임화로 고용 안정이 되는 효과와 단점으로 정원이 한정되어 추가로 들어오고 싶어 하는 단원이 생길 경우 새로운 근로자가 못들어오는 문제가 생긴다”며 “더 자세한 의견을 아산시립합창단원들과 시민민들의 의견을 들어볼 것”이라 전했다.
한편, 출퇴근 이야기를 들은 시민은 “아산시립합창단이 10시 출근 13시 퇴근으로 하루 3시간 근무를 하는데, 갑자기 방문했을 때, 12시 20분경 아무도 없다는 것은 평소에도 출퇴근을 수기로 해서 너무 자유로운 출퇴근이 아니냐”는 문제도 지적 했다.
이어 “2025년 최저임금 시급 10,030 원으로 계산했을 때 40명이 한 시간 일찍 퇴근하면, 401,200 원 이고, 한달 30일 1시간씩 40명일 경우 12,036,000 원 이다“라고 꼬집었다.
그러면서 “상임화는 시민들과 예술단체 의견을 들어보고 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해당 기사는 뉴스온라인,아산데일리 공동 취재 기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