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도의회가 고교학점제 전면 도입 이후 현장의 목소리를 반영하고 정책 개선 방향을 논의하기 위해 의정토론회를 개최
충남도의회가 고교학점제 전면 도입 이후 현장의 목소리를 반영하고 정책 개선 방향을 논의하기 위해 의정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번 토론회는 3일 당진교육지원청 지원센터동 대강당에서 열렸으며, 제도의 성공적 정착을 위해 지역사회의 협력과 제도 개선의 중요성이 집중 조명됐다.
이번 토론회는 홍기후 의원(당진3·더불어민주당)이 좌장을 맡았으며, 김주아 한국교육개발원 고교학점제연구센터 선임연구위원이 주제 발표를 통해 지역 맞춤형 학습 인프라와 평가 제도의 변화 필요성을 강조했다.
김 연구위원은 “고교학점제가 단순한 교과목 선택의 범위를 넘어서, 진정한 학습경험의 변화로 이어지려면 학생평가 방식 개선과 새로운 대입 정책 마련이 필수적”이라고 제안했다. 특히, 시도별 지원센터 역량 강화와 지역 기반 학습 네트워크 구축의 필요성도 언급했다.
이어진 패널토론에서는 당진시의회 최연숙 부의장, 충남도교육청 박성준 장학사, 지역사회문화연구원 명은주 연구원 등 각계 전문가들이 참여해▲고교학점제 전용 공동학습관 설치▲지역 간 교육 격차 해소를 위한 지원 방안▲교사 인력 확충 및 온라인 학습 인프라 구축▲제도 전면 도입에 따른 학부모·학생의 혼란 해소 다음과 같은 과제가 제시됐다.
홍기후 의원은 “현장에서는 교사와 예산의 부족으로 고교학점제 운영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제도의 이상적인 취지를 실현하기 위해 충남도와 교육청, 시군, 지역사회가 함께하는 네트워크 구축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또한 그는 “도의회는 학생 모두가 공평하게 교육받을 수 있도록 공동학습관 설립 등 실질적인 정책을 추진하고, 중앙정부와의 협의를 통해 지속 가능한 제도 정착에 앞장서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