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 보호구역과 아파트 진입로 등 시민의 안전을 위해 설치된 차선규제봉
어린이 보호구역과 아파트 진입로 등 시민의 안전을 위해 설치된 차선규제봉이 오히려 교통사고의 위험 요소로 떠오르고 있다. 파손된 규제봉이 방치되면서 운전자와 보행자 모두를 위협하는 상황이 반복되고 있지만, 관리 체계는 여전히 미흡한 실정이다.
충남 아산시의 한 초등학교 앞 어린이 보호구역. 노란색 안전표지와 함께 설치된 차선규제봉은 절반 이상이 꺾이거나 뽑혀 도로 위에 나뒹굴고 있었다. 인근 아파트 진입로 역시 상황은 비슷했다. 규제봉이 제 기능을 하지 못한 채 방치되면서 차량의 무분별한 진입과 급차선 변경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차선규제봉은 차량의 진로를 유도하고 위험 구간을 시각적으로 경고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일부 운전자들의 고의적인 훼손이나 반복적인 충돌로 인해 규제봉은 쉽게 파손되고, 그 파편이 도로 위에 남아 2차 사고를 유발하는 사례도 적지 않다.
일반 도로에서도 상황은 다르지 않다. 시내 주요 간선도로 곳곳에서 파손된 규제봉이 눈에 띄며, 특히 야간에는 시야 확보가 어려워 사고 위험이 더욱 커진다.
이에 대해 아산시 관계자는 “차선규제봉은 설치된 도로의 성격에 따라 담당 부서가 달라진다”며 “파손에 대한 조치는 국민신문고나 민원 접수가 있어야만 가능하다”고 밝혔다. 이어 “수리 작업이 진행될 때만 인근 설치 상태를 함께 점검하는 방식”이라고 덧붙였다.
이러한 관리 방식은 사후 대응에만 의존하고 있어, 선제적 안전 확보에는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특히 어린이 보호구역처럼 사고 발생 시 피해가 클 수 있는 지역은 보다 철저한 점검과 유지 관리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다.
전문가들은 “차선규제봉은 단순한 교통시설이 아니라 생명을 지키는 장치”라며 “파손된 규제봉이 방치될 경우, 오히려 사고를 유발하는 흉기로 전락할 수 있다”고 경고한다.
실제로 일부 지자체에서는 규제봉 유지보수에 매년 수천만 원의 예산을 투입하고 있지만, 고의 훼손에 대한 처벌은 미비한 상태다. 파손 행위가 명확히 확인되지 않는 이상, 대부분의 경우 책임 소재가 불분명해지기 때문이다.
차선규제봉은 시민의 안전을 위한 최소한의 장치다. 그러나 관리의 사각지대에 놓인 채 방치된다면, 그 존재 이유마저 무색해진다. 보다 체계적인 유지관리 시스템과 시민의식 개선이 병행되어야 할 시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