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선태 의원 도정질문

충남도의회 본회의에서 대전·충남 행정통합 추진에 대한 신중론이 제기됐다. 김선태 의원(천안10·더불어민주당)은 “속도보다 숙의가 우선”이라며 주민 공감대 형성과 시군 간 협의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동시에 충남연구원장의 정치활동 논란을 정면으로 지적하며 공공기관장의 책무와 중립성에 대한 문제를 제기했다.

9일 열린 제361회 충남도의회 제2차 본회의에서 김선태 의원은 도정질문을 통해 대전·충남 행정통합 논의에 대해 “지금은 추진 동력이 부족한 상태”라며 신중한 접근을 주문했다. 그는 “행정통합은 단순한 다수결로 결정할 수 있는 사안이 아니며, 충남 15개 시군과의 충분한 협의와 주민 공감대 형성이 선행돼야 한다”고 밝혔다.

김 의원은 특히 행정통합의 법적 기반이 미비하다는 점을 지적했다. “국회에서 특별법이 통과돼야 실현 가능한데, 현재 관련 법안은 발의조차 되지 않았다”며 “최근 열린 지역 국회의원 초청 정책설명회에서도 구체적인 법률안 논의는 없었다”고 비판했다.

이어 그는 “이재명 정부의 국정과제에 행정통합이 포함되지 않았고, 지역 정치권 내에서도 ‘충청권 광역통합’, ‘충남특별자치도’ 등 다양한 의견이 혼재돼 있어 통합 추진의 동력이 현저히 약하다”고 분석했다.

도정질문에서는 충남연구원장의 정치활동 논란도 도마에 올랐다. 김 의원은 “전희경 원장이 임명 당시 국민의힘 의정부갑 당협위원장직을 겸하고 있었던 것은 명백한 문제”라며 “도지사는 이 사실을 언제 인지했는지 분명히 밝혀야 한다”고 추궁했다.

그는 “충남도 산하 공공기관장은 정치적 중립 의무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정당 직책을 맡고 정치행사에 참여한 것은 명백한 의무 위반”이라고 지적하며, 충남연구원의 재정 구조 악화와 함께 연구원장의 직무 전념 부족을 비판했다. “도 출연금 의존도가 높아지고 자체 수입은 감소하는 상황에서, 타 지역에서 정당 활동에 몰두하는 것은 직무 유기”라는 주장이다.

김 의원은 “사태가 이 지경에 이르렀는데도 도지사가 별도의 입장을 내놓지 않았다”며 “인사권자로서 도민 앞에 사과할 의향이 있는지 묻고 싶다”고 말했다.

김 의원은 마무리 발언에서 “대전·충남 행정통합은 충분한 숙의와 주민투표 등 민주적 절차를 반드시 거쳐야 한다”며 “공공기관장들이 본연의 책무에 집중할 수 있도록 제도적 장치 마련과 철저한 관리·감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