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 서산의 대산석유화학단지가 구조조정 위기에 직면한 가운데, 충남도의회 이연희 의원(서산3·국민의힘)이 산업구조 전환을 위한 신산업 육성과 농어촌 식품사막 해소를 위한 정책 마련을 촉구했다. 그는 “지금 필요한 건 단기 처방이 아닌 지속 가능한 대안”이라고 강조했다.
9일 열린 제361회 충남도의회 임시회 제2차 본회의에서 이연희 의원은 도정질문을 통해 “대산석유화학단지의 위축은 서산뿐 아니라 충남 전체 경제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며 “정부의 산업위기 선제대응지역 지정은 일시적 조치에 불과하다”고 지적했다.
정부는 지난 8월, 글로벌 공급과잉에 따른 구조조정의 일환으로 국내 NCC(나프타분해시설)의 25% 감축을 골자로 한 자율 구조조정을 발표했다. 이에 따라 대산단지의 경쟁력 약화가 현실화되면서 지역경제의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이 의원은 “석유화학산업의 미래는 R&D에 달려 있다”며 “대산단지에도 첨단화학 융복합 연구를 위한 전문 연구기관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베이밸리 메가시티 조성사업 내 서산 산업단지 구축, 글로벌 스마트팜 콤플렉스 조성, 서산공항을 활용한 농산물 수출 물류기지 구축 등을 대안으로 제시했다.
“서산공항을 통해 K-농산물을 동남아 시장에 직접 수출할 수 있다면, 청년 일자리 창출과 지역경제 활성화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는 게 그의 설명이다.
이어진 도정질문에서는 농어촌 지역의 ‘식품사막’ 문제도 다뤄졌다. 이 의원은 “거동이 불편하거나 운전이 어려운 노인들이 기본적인 식료품조차 구하기 어려운 상황”이라며, 농협과 편의점 업체와의 협업을 통한 이동장터 및 냉장·냉동 편의점 트럭 운영 방안을 제안했다.
그는 KBS 예능 프로그램과 전북도의 시범사업 사례를 언급하며 “충남 도내 마트 없는 지역 주민들을 위해 실질적인 생활복지 서비스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특히 “식품사막은 단순한 유통 문제를 넘어, 노년층의 건강 불균형과 사회적 고립을 심화시키는 구조적 문제”라며, 이를 총괄할 전담 조직과 체계적인 정책 추진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이 의원은 “석유화학산업의 위기와 농어촌의 복지 사각지대는 충남의 미래를 위협하는 이중 과제”라며 “지방정부가 선제적으로 나서 지속 가능한 산업과 복지 모델을 구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