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도의회 은행나무 6차산업 의정토론회

충청남도의회가 지역 대표 산림자원인 은행나무를 활용한 6차산업화 전략을 본격적으로 모색하고 나섰다. 21일 열린 의정토론회에서는 은행을 중심으로 한 가공·체험·관광 산업의 가능성과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정책적 지원 방안이 집중 논의됐다.

충남도의회는 21일 아산에서 ‘은행 활용 6차산업 발전 방안’을 주제로 의정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번 토론회는 방한일 의원(예산1, 국민의힘)이 좌장을 맡아 진행했으며, 충남경제진흥원 권오성 센터장이 ‘농촌융복합(6차)산업의 이해와 추진방안’을 주제로 발제를 맡았다.

6차산업은 농업(1차), 가공(2차), 체험·관광(3차)을 결합해 지역 자원의 부가가치를 높이는 융복합 산업 모델이다. 권 센터장은 “충남의 은행나무는 전국 최대 규모의 재배지로, 이를 기반으로 한 체험·가공·관광 연계 산업화가 충분히 가능하다”고 강조했다.

지정토론에는 예산은행연구회 조광식 회장, ㈜아침이슬 강남식 대표, 보령 정촌유기농원 김민구 대표, 충청남도 산림경영팀 김영재 팀장, 충남연구원 유학열 연구실장이 참여해 다양한 시각에서 은행 산업의 현황과 발전 방향을 제시했다.

충남은 전국 은행나무 재배면적의 약 38%를 차지하며, 연간 생산량도 4,578톤으로 전체의 41%에 달한다. 특히 은행잎은 제약·건강기능식품 분야에서 천억 원대 산업으로 성장하고 있어, 지역 자원으로서의 잠재력이 크다는 평가다.

토론자들은 ▲은행나무를 활용한 관광 콘텐츠 개발 ▲은행 열매 가공품 산업화 ▲지역 농업인 중심의 협력체계 구축 ▲도 차원의 인증 및 지원 확대 등을 제안하며, 은행 산업을 지역경제의 새로운 성장 축으로 육성할 필요성을 강조했다.

방한일 의원은 “은행은 충남을 대표하는 자원이자, 산림·농업·관광을 연결할 수 있는 융복합 산업의 핵심”이라며 “도의회가 정책적 뒷받침을 통해 성공 모델로 자리잡을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