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 위기가구 주거환경개선 지원

아산시가 민·관 협력으로 추진한 ‘아산형 복지사업’이 올해 성과를 거두며 마무리됐다. 복지위기 알림 앱을 통해 발굴된 위기가구 53곳에 맞춤형 긴급 지원을 제공하며, 촘촘하고 두터운 사회안전망 구축의 가능성을 보여줬다.

아산시(시장 오세현)는 보건복지부, KMI 한국의학연구소와 함께 진행한 ‘민관협력 복지위기가구 지원사업’을 통해 올해 총 53가구에 대한 긴급 복지지원을 완료했다고 12일 밝혔다.

이번 사업은 지난 2월 체결된 4자 업무협약에 따라 KMI 한국의학연구소의 후원금으로 운영됐으며, 아산시지역사회보장협의체가 수행기관으로 참여해 사업을 주도했다.

위기가구는 ‘복지위기 알림 앱’을 통해 발굴됐다. 공공·민간 지원을 받았음에도 추가 도움이 필요한 가구, 혹은 공적 지원 기준에는 부합하지 않지만 실제 생활 실태상 긴급 지원이 필요한 가구를 중심으로 지원이 이뤄졌다.

지원 결과는 △청·장년 1인 가구 27곳 △부모·자녀 가구 7곳 △한부모가구 5곳 △독거노인 등 기타 가구 14곳으로 총 53가구에 달했다. 지원 항목은 △주거지원 33가구 △의료지원 10가구 △교육지원 4가구 △생계지원 5가구 △심리지원 1가구로, 가구당 최대 100만 원 한도 내에서 맞춤형으로 제공됐다.

이번 사업은 단순한 금전 지원을 넘어 심리적 안정과 자립을 돕는 다양한 복지서비스를 연계해 위기 상황을 근본적으로 완화하고, 지역 사회안전망을 강화하는 데 의미를 더했다.

김민숙 아산시 사회복지과장은 “보건복지부와 KMI 한국의학연구소와 함께한 이번 협력사업을 통해 복지사각지대에 놓인 시민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었다”며 “앞으로도 공공과 민간이 함께 힘을 모아 지속가능한 아산형 복지체계를 만들어 나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후원을 제공한 KMI 한국의학연구소는 1985년 설립된 의료기관으로 전국 8개 건강검진센터를 운영하며 국민 건강 증진에 앞장서고 있다. 또한 취약계층을 위한 의료 및 사회공헌 활동을 꾸준히 이어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