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세현 아산시장이 “아산은 더 이상 단순한 기초자치단체가 아니라 국가 운영의 파트너인 지방정부로 자리매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대통령이 국정설명회에서 ‘지방정부’라는 표현을 사용한 의미를 공유하며, 아산시가 국가적 과제와 첨단산업 발전의 최전선에 서야 한다는 점을 간부 공무원들에게 주문한 것이다.
오 시장은 17일 시청 상황실에서 열린 주간간부회의에서 지난 12일 청와대 국정설명회 발언을 언급하며 “중앙정부가 자치단체를 ‘기초단체’가 아닌 ‘지방정부’로 지칭한 것은 지역 현장에서 정책 집행의 중요성을 인정한 신호”라고 설명했다. 그는 “지방정부는 시민 삶과 맞닿은 최전선에서 국가정책을 집행하는 만큼, 아산시도 책임감과 자부심을 갖고 대응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오 시장은 국정설명회에서 아산시가 직면한 제도적 문제를 직접 건의했다고 밝혔다. 그는 “지역화폐 고객관리(CRM) 제도의 구조적 한계, 국가하천 준설과 특별재난구역 지정 과정에서 드러난 제약을 개선해야 한다”며 “법과 제도에 발목 잡히는 행정에서 벗어나, 실행 가능한 대안을 중앙정부에 제안하는 적극적 자세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또한 아산·천안권의 미래산업 성장세를 ‘지방정부’ 역할 강화의 근거로 제시했다. 오 시장은 탕정 테크노밸리에 확정된 3,000억 원 규모의 첨단 디스플레이 국가연구 플랫폼과 5,000억 원 규모의 무기발광디스플레이센터, 삼성디스플레이 및 반도체 기업 확장 등을 언급하며 “국책 연구기관과 기업이 집적되는 제2의 테크노밸리, 나아가 제2의 실리콘밸리로 도약할 기반이 마련되고 있다”고 평가했다.
그는 이어 “차세대 자율·전기·수소차 테스트베드 구축, KTL 바이오의료지원센터와 바이오·헬스 기업 착공으로 아산은 미래 모빌리티와 바이오산업까지 아우르는 국가 혁신 거점으로 부상하고 있다”며 “시민이 변화를 체감할 수 있도록 첨단산업과 국책사업 진행 상황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홍보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이밖에도 오 시장은 △겨울철 건강관리 지침 마련 △제설 및 낙엽 배수구 정비 등 계절 행정 선제 대응 △내년도 예산 편성 시 행사성·불필요 예산 정비 △간부 공무원의 경험을 살린 적극 행정 추진 등을 지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