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형서 의원

충청남도의회 구형서 의원(천안4·더불어민주당)이 충남연구원의 핵심 인력 장기교육 성과 기준을 강하게 문제 삼았다. 그는 “학술등재후보지 이상 논문 게재”라는 현행 규정이 장기교육의 취지와 투자 규모에 비해 지나치게 낮다고 지적하며, 제도 전반의 재검토를 촉구했다.

지난 17일 열린 충남연구원 행정사무감사에서 구형서 의원은 연구직 직원이 장기교육을 이수한 뒤 2년 이내에 학술등재후보지 이상의 학회지에 논문을 게재하도록 한 현행 규칙을 문제 삼았다. 그는 “장기교육은 연구원의 시간과 예산, 인력 공백을 감수하며 운영하는 핵심 역량 강화 제도”라며 “그에 걸맞은 수준의 결과물을 확보하는 것이 제도의 기본 전제”라고 강조했다.

구 의원은 특히 학술등재후보지의 학문적 기여도와 심사 엄격성이 KCI 등재지에 비해 낮다는 점을 지적했다. 그는 “박사급 핵심 인력이 1년 가까이 교육을 받고 돌아온 뒤 제출할 성과로는 턱없이 부족하다”며 현행 기준의 실효성에 의문을 제기했다.

성과 관리 체계의 허술함도 도마에 올랐다. 구 의원은 최근 5년간 장기교육 이수자의 논문 게재 현황을 분석한 결과, 2021년 장기교육을 다녀온 후 아직까지 논문을 게재하지 않은 사례가 있다고 밝혔다. 그는 “논문 게재 현황과 결과물의 품질을 종합적으로 평가한 적이 있는지조차 불분명하다”며 “성과 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는지 의문”이라고 말했다.

구 의원은 “연구원의 경쟁력은 결국 연구자의 전문성과 결과물의 질에서 나온다”며 “장기교육 성과 기준은 교육 목적에 부합하는 수준으로 재설계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충남연구원이 지역의 핵심 정책연구기관으로서 위상에 걸맞은 성과 관리 체계를 마련해야 한다”고 거듭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