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순옥 의원

충남도의회 신순옥 의원(비례·국민의힘, 보건복지환경위원회 부위원장)이 충남형 통합돌봄 정책의 실질적 추진을 위해 도 차원의 선제적 로드맵 마련을 촉구했다. 그는 방문 기반 서비스의 물리적 한계를 지적하며, 민간 협업과 현장 중심 모델을 반영한 정책 설계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신 의원은 지난 18일 열린 제362회 정례회 보건복지환경위원회 종합감사에서 “재택의료와 방문간호 등 다양한 서비스가 운영되고 있지만, 제한된 인력과 시간으로는 지역별·환자별 돌봄 격차를 해소하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특히 “찾아가는 서비스는 내원 진료보다 더 많은 인력과 비용이 요구되는 만큼, 재정과 인력 문제를 구조적으로 해결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통합돌봄의 핵심이 ‘환자의 생활공간으로 직접 찾아가는 방식’임을 강조하면서도, 현재의 방문 서비스가 갖는 물리적 한계를 극복하지 못하면 제도의 실효성이 떨어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이에 따라 충남도가 통합돌봄 체계 설계 과정에서 이러한 문제를 최우선 과제로 삼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신 의원은 천안시에서 운영 중인 한의사 재택 방문진료 사업을 우수사례로 제시했다. 해당 사업은 환자 만족도가 97%에 달하며, 젊은 한의사들이 직접 환자를 찾아가 진료하는 모습이 현장 중심 모델의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는 평가다. 그는 “충남의 통합돌봄 설계 과정에서 이러한 성공 사례를 적극 반영해야 한다”고 말했다.

끝으로 신 의원은 “통합돌봄은 의료와 복지를 아우르는 수준을 넘어, 여러 기관이 함께 참여해야 하는 종합 정책”이라며 “충남이 통합돌봄의 기준을 명확히 세우고, 민간·지역사회와 협력해 지속 가능한 돌봄 모델을 만들어야 한다”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