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지역 공동체 활성화 정책 연구모임

충남도의회가 농촌 고령화와 생활 서비스 공백 문제 해결을 위한 ‘충남형 농촌 서비스 통합모델’ 최종안을 제시했다. 도의회 연구모임은 주민 주도의 돌봄 체계와 광역지원센터 설치 필요성을 강조하며, 내년부터 시범사업을 추진해 전국 선도 모델을 구축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충남도의회 ‘농촌지역 공동체 활성화 정책 연구모임’(대표 박미옥 의원)은 지난 27일 제3차 회의 및 연구용역 최종보고회를 열고, 충남 농촌의 지속가능성을 위한 통합서비스 모델 구축 방향을 논의했다.

회의에는 박미옥 의원(비례·국민의힘), 고광철 의원(공주1·국민의힘), 신순옥 의원(비례·국민의힘)을 비롯해 사회적농장·협동조합 대표, 주민자치회 관계자, 현장 활동가, 관련 부서 공무원 등이 참석했다. 참석자들은 농촌 고령화와 과소화로 인해 확대되는 생활 서비스 공백을 면 단위 생활권에서 어떻게 해결할 것인지 집중적으로 의견을 나눴다.

최종보고에서는 ▲충남 농촌의 서비스 공백 실태 ▲면 단위 통합서비스 모델 필요성 ▲주민 활동가(돌봄반장 등) 양성 체계 ▲광역지원센터 설치 및 2년간 시범사업 추진 방안 등이 제안됐다. 토론자들은 “생활돌봄·사회적농업·주민자치 등 개별적으로 운영되는 활동을 통합 관리해야 한다”며 “광역지원센터와 주민활동가 체계 구축이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농업정책과 곽세우 팀장은 “현장에서 다양한 서비스가 운영되고 있지만 연계 부족으로 효율성이 떨어지고 있다”며 “서비스 통합 필요성이 크며, 도에서도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박미옥 의원은 “도민의 생활서비스 공백을 메우는 충남형 농촌 돌봄 시스템을 조례 제정과 함께 실행하겠다”며 “주민 주도의 공동체 기반을 바탕으로 전국을 선도하는 모델을 만들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