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남도는 9월 19일 당진시청 해나루홀에서 ‘충남 철강산업 위기선제대응 협의체’ 발족식
철강산업의 위기 앞에서 충남도가 선제적 대응에 나섰다. 공급 과잉과 탄소 규제, 보호무역주의 확산 등 복합적 위기에 직면한 철강업계를 살리기 위해 지자체와 기업, 전문가들이 머리를 맞댔다.
충청남도는 9월 19일 당진시청 해나루홀에서 ‘충남 철강산업 위기선제대응 협의체’ 발족식을 열고, 지역 철강산업의 지속 가능성을 위한 대응 체계를 본격 가동했다. 이번 협의체는 충남도와 당진시, 주요 철강기업, 산업연구기관, 유관기관 등이 참여해 산업위기 선제대응지역 지정을 핵심 과제로 추진한다.
행사에는 안호 산업경제실장을 비롯해 현대제철, 동국제강, KG스틸 등 도내 철강기업 관계자와 산업연구원, 한국산업단지공단, 충남테크노파크 등 20여 명이 참석했다. 참석자들은 철강산업의 구조적 위기를 진단하고, 탄소중립과 산업 경쟁력의 균형을 맞춘 구조 전환의 필요성에 공감했다.
충남도는 당진시와 함께 산업통상자원부에 산업위기 선제대응지역 지정 신청을 준비 중이며, 오는 11월 중 신청서를 제출할 계획이다. 지정이 확정되면 금융·세제 지원, 고용 유지, 산업 고도화 등 다양한 정부 지원을 받을 수 있다.
안호 실장은 “철강산업은 충남 산업의 중심축이자 국가 경제의 핵심 기반”이라며 “도와 당진시, 산업계가 하나로 뭉쳐 위기를 기회로 바꾸는 전환점을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협의체는 향후 철강산업 현장의 목소리를 정책에 반영하고, 기업 맞춤형 지원책을 마련해 지역경제의 활력을 되살리는 데 집중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