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도의회가 초고령사회로 진입한 지역 현실에 대응하기 위해 ‘충남형 돌봄통합 정책’ 마련에 나섰다. 9월 22일 열린 전문가 간담회에서는 돌봄의 공백을 메우기 위한 협력체계 구축과 전문 인력 양성, 맞춤형 서비스 강화 등 다양한 해법이 제시됐다.
이날 간담회는 충남도의회 보건복지환경위원회 회의실에서 진행됐으며, 신순옥 의원(비례·국민의힘)이 좌장을 맡아 학계 전문가와 현장 대표 등 11명이 참여했다. 참석자들은 돌봄정책의 지속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재가·시설·의료 간 유기적 연계 ▲전문 인력의 안정적 확보 및 효율적 배치 ▲도민 체감형 맞춤 지원 확대 등을 핵심 과제로 제안했다.
특히, 단일 기관 중심의 돌봄 서비스가 한계에 부딪힌 상황에서, 지역사회 기반의 협력 모델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았다. 신 의원은 “돌봄은 어느 한 조직만으로 해결할 수 없는 복합 과제”라며 “현장의 목소리를 반영한 정책 설계가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충남도의회는 이번 간담회를 시작으로 지역 맞춤형 돌봄정책의 방향성을 구체화하고, 도민이 체감할 수 있는 촘촘한 안전망 구축에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신순옥 의원은 “오늘 논의된 의견들이 향후 정책에 반영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며 “도민 누구나 안심하고 살아갈 수 있는 돌봄 환경을 만드는 데 의회가 앞장서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