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문화 학생 교육 및 학업중도포기 문제에 관한 연구모임 현장방문(온양신정중1)

충남도의회가 교육 현장의 목소리를 직접 듣고, 다문화 학생의 학업 중단 문제와 고교학점제 운영의 혼란을 해소하기 위한 실질적 대안을 모색하고 있다. 제도 개선과 학교 자율성 강화를 위한 현장 진단이 이뤄졌다.

충청남도의회 ‘다문화 학생 교육 및 학업중도포기 문제에 관한 연구모임’(대표 유성재 의원)은 지난 9월 29일 천안불당고, 온양신정중, 아산충무고를 차례로 방문해 교육 현장의 실태를 점검했다. 이번 방문은 지난 4월에 이어 두 번째로 진행된 것으로, 다문화 학생의 교육 환경과 고교학점제 운영의 문제점을 중심으로 논의가 이뤄졌다.

온양신정중 조원찬 교장은 “이주 배경을 가진 학생들이 학년 구분 없이 한국어 학급에서 수업을 받고 있으며, 일부는 높은 학습 의지를 보이고 있다”면서도 “가정의 무관심과 부모의 비자 불안정이 학습 격차와 정서적 불안으로 이어지고 있어 교육과 심리적 지원이 병행돼야 한다”고 말했다.

아산충무고 엄기일 교장은 “전체 학생 중 31.6%가 다문화 학생으로, 언어와 문화의 차이로 인해 학교 적응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조기 진로교육과 체험 중심의 활동, 정서적 케어가 함께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순천향대학교 최근택 교수는 “다문화 학생 비율이 높은 지역일수록 진로 탐색과 학습 지원이 시급하다”며 “지역사회와 지자체의 자율적인 예산 운용과 투자가 뒷받침돼야 한다”고 제언했다.

고교학점제와 관련해 천안불당고 양종현 교감은 “과목 선택의 폭이 좁고 평가 체계가 불안정하며, 1학년 성적이 입시에 반영되는 부담으로 인해 학업 중단 사례가 늘고 있다”고 지적했다. 현장 교사들 역시 “획일적인 제도 도입과 단순 과목 수 확대는 오히려 학생과 학부모의 불안을 키우고 있다”고 우려를 표했다.

이에 대해 유성재 의원은 “학생의 역량을 중심으로 다양한 진로 선택이 가능한 유연한 교육 시스템이 필요하다”며 “공동교육과정이나 온라인 수업은 한계가 있는 만큼, 학교별 자율성과 지역 특성에 맞춘 교육이 중요하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고교학점제와 대입 제도를 연계한 실질적 개선과 다문화 학생에 대한 맞춤형 지원 체계 구축을 위해 도의회 차원에서도 적극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