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도는 9월 30일 도청 재난상황실에서 ‘노후아파트 안전관리 강화 대책회의’를 열고, 도내 아파트 화재 예방을 위한 실질적 대응 방안을 논의

충남도가 노후아파트에서 발생하는 전기화재 사고를 줄이기 위해 도내 시군과 함께 안전관리 강화에 나섰다. 최근 인명 피해를 동반한 화재가 잇따르면서, 실효성 있는 예방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판단이다.

충청남도는 9월 30일 도청 재난상황실에서 ‘노후아파트 안전관리 강화 대책회의’를 열고, 도내 아파트 화재 예방을 위한 실질적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 회의에는 박정주 행정부지사를 비롯해 소방본부 예방안전과, 시군 부단체장, 안전총괄부서장 등이 참석했다.

도 소방본부에 따르면 최근 3년간(2023년 1월~2025년 8월) 충남지역 아파트 화재는 총 262건 발생했으며, 이로 인해 20명이 부상을 입고 2명이 사망했다. 화재 원인 중 전기적 요인이 103건(39.3%)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 부주의(29%), 기계적 요인(7.6%), 방화(3.8%) 순이었다.

회의에서는 노후아파트 화재안전 전수조사 이행률 점검과 함께, ▲입주민이 직접 소방시설 외관을 점검할 수 있도록 홍보 강화▲노후 아파트 단지에 단독경보형 감지기 보급 확대▲재난약자 대상 전기화재 예방 안전용품 지원▲안전 취약계층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운영 및 안전문화 확산▲노후 공동주택 공용시설 개선사업 지원 같은 예방 대책이 제시됐다.

특히 입주민이 소방시설 점검을 요청할 경우, 소방공무원이 협조해 세대별 점검표 작성을 돕는 방식도 도입될 예정이다.

이날 회의에서는 천안시의 아파트 재난안전관리 매뉴얼 제작·배포 사례, 부여군의 안전의식 자기진단 앱 개발 등 우수 사례도 공유됐다.

박정주 부지사는 “다가오는 추석 연휴와 겨울철을 앞두고 화재 예방이 더욱 중요해졌다”며 “각 시군은 지역 여건에 맞는 안전관리 방안을 적극 도입해 도민의 생명과 재산을 지키는 데 최선을 다해달라”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