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일 홍성군 장곡면에서 열린 제2차 정책 연구모임
충남도의회가 농촌지역의 생활서비스 공백을 해소하고 공동체 기반의 지속가능한 돌봄 체계를 구축하기 위한 정책 논의에 속도를 내고 있다. 지난 13일 홍성군 장곡면에서 열린 제2차 정책 연구모임에서는 ‘광역지원센터’ 설치를 중심으로 한 구체적 실행방안이 제시됐다.
‘농촌지역 공동체 활성화 정책 연구모임’(대표 박미옥 의원)은 이날 장곡 오누이다목적회관에서 연구용역 중간보고회를 개최하고, 충청남도 농촌 경제·사회서비스 공동체 지원센터 설치를 골자로 한 정책 방향을 논의했다.
보고회에는 아시아 농업·농촌연구원 김기흥 대표, 협동조합 행복농장 최정선 이사, 장곡 사회적협동조합 신소희 국장, 충남도 농업정책과 곽세우 팀장 등 현장 전문가와 관계 공무원이 참석해 실질적인 의견을 나눴다.
연구용역 중간보고에서는 2023년 제정된 「농촌지역 공동체 기반 경제‧사회서비스 활성화에 관한 법률」 이후의 전국적 흐름을 분석하고, 충남형 광역지원센터의 필요성과 기능을 제안했다. 특히 교육·발굴·네트워크·정책지원 등 다기능 플랫폼으로서의 역할과 시범사업을 통한 단계별 모델 구축이 핵심으로 떠올랐다.
현장 발표에서는 장곡면 생활돌봄공동체와 사회적농장 ‘행복농장’의 사례가 소개됐다. 도시락 배달, 공동식사, 생활수리, 이동권 보완 등 생활밀착형 서비스가 면 단위 네트워크와 돌봄반장을 통해 작동하고 있다는 점에서, 지역 맞춤형 공동체 모델의 가능성이 확인됐다.
참석자들은 중복사업 조정 로드맵, 면 단위 데이터베이스(DB) 구축, 외부재원 연계 등 광역센터의 구체적 기능을 제안하며, 실질적인 실행력을 높이기 위한 방안을 모색했다.
박미옥 의원은 “주민자치는 의제 설정과 합의, 생활돌봄공동체는 실행과 집행을 담당해야 한다”며 “인구감소와 고령화로 소외된 면 단위 생활서비스를 보완하기 위해 역할 분담과 연계가 필수적이다. 조례 제정을 통해 중복사업을 정리하고 현장 중심의 실행력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