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수현 의원

윤석열 정부 말기 단행된 공공기관 인사에 대해 ‘알박기’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박수현 의원(더불어민주당, 충남 아산시갑)은 “정권 말기 인사가 공공기관의 기능을 마비시키고 있다”며, 인사 적정성에 대한 철저한 검증과 제도 개선을 촉구했다.

박 의원이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윤석열 정부는 2024년 12월 3일 비상계엄 선포 이후부터 2025년 6월 3일 제22대 대선까지 문화체육관광부와 국가유산청을 중심으로 총 136명의 인사를 단행했다. 이 중 문체부는 기관 98명, 위원회 26명 등 총 124명을 임명했고, 국가유산청은 기관 3명, 위원회 9명으로 총 12명을 임명한 것으로 나타났다.

▲문화체육관광부와 국가유산청 내 인사 현황


특히 인사 시점이 논란의 중심에 섰다. 윤석열 전 대통령이 구속된 1월 19일부터 구속 취소 결정이 내려진 3월 7일까지 72명의 인사가 집중됐고, 탄핵 인용 이후 대선 직전까지도 29명의 인사가 추가로 이뤄졌다. 이 중 기관장급 인사만 10명에 달했다.

▲12.3 비상계엄 이후 21대 대선까지 주요 시점별 인사 내역


대표적인 사례로 지목된 정용욱 한국예술인복지재단 대표는 문화예술 분야 경력이 부족한 인물로, 문체부 종무실장으로 전보된 지 불과 몇 달 만에 재단 대표로 임명됐다. 국립문화공간재단 우상일 대표 역시 과거 ‘문화예술계 블랙리스트’ 작성에 관여한 전력이 있으며, 노조 반발로 임명이 무산된 이력이 있다. 국립아시아문화전당재단 김명규 사장은 유인촌 전 장관이 창단한 극단 대표 출신으로, 문화 다양성에 대한 전문성이 부족하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대표적인 부적절 인사 리스트


박 의원은 “정권 말기 인사는 단순한 인사 문제가 아니라, 공공기관의 독립성과 공공성을 훼손하는 심각한 사안”이라며 “검증을 통해 절차적 하자나 위법성이 확인된다면 인사의 적정성을 재검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