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362회 정례회 행정사무감사 기획경제위원회

충남도의회 기획경제위원회가 충남테크노파크(TP)와 투자통상정책관을 대상으로 실시한 행정사무감사에서 재정 건전성, 장비 활용률, AI 분야 역량 강화 등 현안 문제를 집중 점검했다. 위원들은 운영 구조 전반의 개선과 투명성 확보를 주문하며, 지역 산업 지원기관으로서 TP의 역할 강화를 촉구했다.

13일 열린 감사에서 안종혁 위원장(천안3·국민의힘)은 충남TP의 재정구조와 운영비 증가 문제를 지적했다. 그는 “장비·건축 자산의 감가상각과 유지보수 비용 증가로 장부상 적자가 확대되고 있다”며 “수익 구조 개선과 지출 관리 대책이 부족하다”고 말했다. 이어 인건비와 운영비 비중이 커지는 점을 언급하며 “사업비 확대를 통한 수익 기반 강화와 인력·운영 구조 전반 점검이 필요하다. 내년 정기 이사회 전까지 구체적 개선 방안을 마련하라”고 주문했다.

구형서 부위원장(천안4·더불어민주당)은 충남도 감사위원회 종합감사 결과를 언급하며 “10여 년간 방치된 원인 미상 잔액, 국비·도비 건립공사비 혼용 집행, 자산 관리대장 미작성 등은 단순 실수가 아니라 시스템 부재를 드러낸 것”이라고 비판했다. 그는 내부 감사 기능 강화와 회계·자산 관리 체계 정비를 통해 재발 방지를 촉구했다.

이종화 의원(홍성2·국민의힘)은 고가 연구장비의 낮은 활용률을 문제 삼았다. “3억 원 이상 장비 104대 중 도내 기업 운용률이 12.5%에 불과하고, 일부 장비는 한 번도 쓰이지 않았다”며 실수요 조사와 홍보·예약 체계 개선을 통한 활용률 제고를 강조했다.

안장헌 의원(아산5·더불어민주당)은 AI 대형 국책사업에서 충청권이 소외된 현실을 지적하며 “TP가 기존 산업에서는 성과를 내고 있지만 디지털·AI 분야에서는 경쟁력이 부족하다”고 말했다. 그는 인력 규모에 비해 예산과 사업 수행 역할이 미흡하다며 적극적인 사업 제안과 기획을 통한 역량 강화를 당부했다.

지민규 의원(아산6·무소속)은 수의계약과 장비 구축 사례를 언급하며 “충남에서도 조달 가능한 물품을 수도권 업체와 수의계약으로 진행한 점, 고가 장비가 세팅되지 못한 점은 개선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그는 구매·설치·운영 전 과정을 투명하게 공개하고 지역 기업과 도민 눈높이에 맞는 시스템 정비를 요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