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남도가 기후 위기 대응과 지역경제 위축 방지를 위해 ‘정의로운 에너지 전환’을 본격 추진한다. 도는 노사정 협력체계를 구축하고 에너지전환협의회 사무실을 개소하며, 석탄화력발전소 폐지 이후 지역경제와 노동자 고용 안정을 위한 새로운 연대 모델을 제시했다.
13일 충남도청 대회의실에서 열린 협약식에서 도는 ‘충남 노사정 에너지전환협의회 구성·운영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어 내포신도시 홍성군에 협의회 사무실을 개소하며 본격적인 활동 기반을 마련했다.
충남 노사정 에너지전환협의회는 석탄화력발전소 폐지로 인한 지역경제 위기와 기후 위기에 공동 대응하기 위해 마련된 새로운 협력 모형이다. 협의회에는 충남도와 보령·당진·태안 등 3개 시군, 한국전력공사 노사, 발전 3사(중부·서부·동서발전) 노사, 발전 협력사 및 자회사 노사 등 총 24개 기관·단체가 참여했다.
이날 협약식에는 안호 산업경제실장을 비롯해 도·시군 공무원과 기관 관계자 50여 명이 참석했다. 참여 기관들은 협약을 통해 ▲석탄화력발전소 폐지 지역 지원 특별법 제정 공동 대응 ▲정의로운 전환 실현 ▲공공 주도의 에너지 전환 및 기후정의 실현 ▲지역소멸 방지와 지속 가능한 발전 모색 ▲협의회 운영을 위한 행·재정 지원 등 6개 협력 사항을 추진하기로 뜻을 모았다.
김태흠 충남지사는 개소식에서 “노동계·경영계·지방정부·시민사회의 지혜를 모아 대한민국의 정의로운 에너지 전환을 이끌어갈 선도기지가 되길 바란다”며 “화력발전소가 멈추더라도 노동자의 삶이 보장되도록 대체 건설과 대안 사업을 발굴해 경제와 일자리를 지키겠다”고 말했다. 그는 또 “석탄화력발전소 폐지는 시대적 과제지만 일자리 감소와 지역경제 위축 문제는 국가 차원의 지원이 필요하다”며 “정기국회에서 특별법 제정을 반드시 관철하겠다”고 강조했다.
충남도는 이미 수년 전부터 석탄화력발전소 폐지에 따른 충격을 완화하기 위해 기금 설치, 발전 특구 지정, 대체 산업 및 재생에너지 보급 지원 등을 포함한 특별법 제정을 요구해왔다. 이번 협의회 출범으로 도는 노사정이 함께 충남형 에너지 전환 정책을 발굴하고 국가 에너지 전환을 선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