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난 대응 체계를 점검하고 개선하기 위한 대토론회

충남 아산시가 지난 여름 기록적인 폭우 피해를 겪은 뒤, 재난 대응 체계를 점검하고 개선하기 위한 대토론회를 열었다. 이번 회의는 13일 아산시청 상황실에서 개최됐으며, 김범수 부시장과 아산시의회 의원, 소방서·경찰서·군부대·한국전력·통신사·농어촌공사·전기안전공사·자율방재단 등 민·관·군이 모두 참여해 현장의 목소리를 공유했다. 단순 복구를 넘어 기후재난 시대에 맞는 ‘선제적 대응 모델’을 마련하겠다는 의지가 확인된 자리였다.

지난 7월 16일 아산시는 최대 443mm, 평균 388mm의 폭우가 쏟아지며 공공시설과 사유시설에 총 260억 원 규모의 피해를 입었다. 인명 피해는 없었지만, 하천 범람과 도로 침수로 주민 대피가 이어졌고, 행정안전부는 아산을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했다. 이에 따라 총 784억 원 규모의 복구 계획이 수립됐다.

아산소방서는 홍수경보 발령 직후 차량 57대, 장비 90대를 투입해 69명을 구조·대피시켰으며, 이후 아산시청 재난상황실과 협약을 맺어 향후 풍수해 발생 시 소방서 연락관을 상황실에 파견해 CCTV와 교통정보를 실시간 공유하기로 했다. 아산경찰서는 서면 의견을 통해 “집중호우 당시 교통통제 인력 부족과 안내 지연으로 시민 혼란과 차량 침수가 발생했다”며, 사전 통제 대상지 지정과 내비게이션·포털 지도와의 신속한 정보 공유 필요성을 강조했다.

한국전력은 정전 피해 복구 과정에서 도로 침수로 접근이 어려워 복구가 지연된 사례를 공유하며, 낙뢰·번개 등 복합재난에 대한 대비책 마련을 제안했다. 3585부대는 예비군과 병력을 투입해 복구를 지원했으나, “향후에는 단순 복구 참여를 넘어 특보 발령 단계부터 행정과 군이 함께 움직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KT는 통신 장애 시 고령층이 신고하지 못해 복구가 늦어지는 문제를 지적하며, 마을 단위 신고 체계 보완을 요청했다.

농어촌공사는 저수지·양수장·배수장 등 주요 시설 피해 현황을 보고하며, “전문기관과 합동 점검단을 구성해 정밀 점검을 실시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한국전기안전공사는 침수 지역 전기설비 점검 과정에서 누전·스파크 위험을 확인하며, “복구 작업 전 반드시 전원 차단과 안전 확인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자율방재단과 의용소방대는 현장 복구 과정에서 체계적 지휘와 물자 지원 부족을 지적하며, “특보 발령 시 비상협조령을 통해 자원봉사단체가 동시에 대응할 수 있는 체계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특히 이번 13일 대토론회에서는 기관별 대응 사례와 개선점을 공유하며, 내년에도 반복될 수 있는 기후재난에 대비하기 위한 실질적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데 의견을 모았다.

▲재난 대응 체계를 점검하고 개선하기 위한 대토론회

김범수 아산시 부시장은 “행정이 놓친 현장의 목소리를 적극 반영해 내년에는 보다 완벽한 대응 체계를 갖추겠다”고 밝혔다.

이번 대토론회는 단순히 피해를 되짚는 자리가 아니라, 아산시가 기후재난 시대에 맞는 대응 체계를 새롭게 설계하는 출발점이 됐다. 민·관·군이 함께 참여한 만큼, 내년 여름 예상되는 집중호우에 대비해 보다 체계적이고 신속한 대응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