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승래 의원

ESG 경영을 강조하는 한국수출입은행이 정작 내부 실천에서는 기준 미달이라는 지적이 국정감사에서 제기됐다. 장애인 고용, 중증장애인생산품 구매, 탄소 감축 등 핵심 지표 전반에서 부진한 성적을 보이며, 정책금융기관으로서의 책무를 다하지 못하고 있다는 비판이 일고 있다.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조승래 의원(더불어민주당, 대전 유성구)은 10월 27일 국정감사에서 한국수출입은행의 ESG 경영 실적에 대해 강도 높은 질의를 이어갔다. 조 의원이 수출입은행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해당 기관은 지난 10년간 단 한 차례도 장애인 의무고용률을 충족하지 못해 총 13억 2천만 원의 법정부담금을 납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중소기업은행, 한국무역보험공사, 한국국제협력단 등 유사업무 기관과 비교해도 현저히 낮은 수준이다. 중증장애인생산품 구매비율 역시 법정 기준인 1%를 4년 연속 달성하지 못했으며, 2024년 기준 0.77%에 그쳤다. 조 의원은 “사회적 약자와의 상생을 표방하는 정책금융기관으로서 기본적인 책무조차 이행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환경 부문에서도 실적은 부진했다. 수출입은행의 탄소 배출 감축률은 2021년 32.1%에서 2024년 9.1%까지 급감하며, 감축 목표 달성에 실패한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홈페이지에 게시된 탄소배출량 그래프가 실제 수치와 다르게 표시된 정황도 확인돼, 시각자료 왜곡 논란까지 불거졌다.

조 의원은 수출입은행 ESG 위원회의 운영 실태에 대해서도 문제를 제기했다. 내규상 설치가 가능하도록 명시된 ESG 전문위원회가 단 한 번도 운영된 적이 없으며, 현재 위원회는 단순한 의결기구에 머물러 있다는 것이다. 그는 “인사·구매 등 실무 부서의 ESG 추진 현황을 상시 점검하고, 정책 정합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ESG 전문위원회를 실질적으로 활성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